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손전등은 관측자의 암적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손전등의 앞을 적색 셀로판지로 막아
밝기
를 줄여 주는 것도 효과적이다.4. 관측기록은?천체관측 기록은 반드시 현장에서 관측, 즉시 바로 해야 한다.관측하지도 않고 마치 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기록해서는 안되며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해서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2.1분×2.20분밖에 안되고
밝기
는 10.3등급이다. 이것은 타원은하이기 때문에 높은 표면
밝기
를 갖지만 상세한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자자리에 있는 다른 나선은하들에 비해 덜 인상적이다. 이것은 M95와 M96로부터 1백30kpc의 거리에 놓여 있다. 광시야의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한 시야내에서 이 ... ...
소행성, 지구와 충돌 가능성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밝은 소천체가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하고 5시간에 걸쳐서 추적했다는 내용.
밝기
를 추적해 크기를 계산해본 결과 이 소천체의 지름은 5-l0m이며 지구에 17만km까지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반. 이 소행성은 1991BA(앞의 숫자는 발견 연도)라 명명됐다.원래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여러 개가 동일지역에 초점을 맞추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보름달 50개의
밝기
에 해당하는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관련 과학자들의 말이다. 이 거울들은 같은 지점에 빛을 비추면서 지구를 선회하게 설계 돼 있는데 이때 56×88km의 표면적을 조사(照射)할 수 있다.이러한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문대는 그 직경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식쌍성(eclipsing binary, 한 별이 다른 별을 가리워
밝기
가 변하는 쌍성)의 연구에 집중, 많은 결과를 내놓았다.위 결과들은 1990년 11월5일부터 13일까지 서울과 대전에서 옛소련 등 동구권 15명을 포함한 외국인 1백여명과 내국인 40여명 등 총 1백40명이 참석한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0.74개의 별이 모여 있다.이 성단은 크기가 거의 보름달만큼 크기때문에, 부분 부분의
밝기
는 어두워서 하늘 상태가 깨끗하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대기상태가 적당할 때 시야를 꽉 메우는 희미한 별들의 모습은 압권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대기상태가 아주 좋을 때 8인치 이상의 망원경을 ... ...
컴퓨터그래픽으로 우주공간 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붙인 이 시스템에는 지구를 중심으로 6백52광년 안에 있는 항성의 위치, 명칭,
밝기
, 스펙트럼, 고유운동의 벡터값 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돼 있다. 또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성운 등에 관한 자료도 입력돼 있다.가령 플라네타리움 내에서 지구로부터 25광년 떨어진 베가별까지 우주여행할 때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다시 분리각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세번째의 희미한 동반성 카스토르 C는 9.1등급의
밝기
로 72.5˝(초)의 분리각을 갖는다. 약 1만년이나 되는 주기를 갖고 계의 나머지 부분을 천천히 공전하고 있다.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관측 가능한 이 세개의 별들이 각각 자체로 분광 연성이라는 것이다. 즉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푸른 이온 꼬리가 길게 뻗어있음이 혜성의 모습을 돋보이게 했다.혜성은 5등급대의
밝기
를 유지하며 계속 남쪽으로 내려가지만 박명시의 혜성 고도는 별반 낮아지지 않아 계속적인 관측이 가능했다. 이 혜성 관측의 마지막 시기는 12월 중순이었다. 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12일은 초저녁 무렵에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것은 시골의 하늘에서조차 작은 파인더망원경상에서 작은 점으로 보일 정도의
밝기
다. 이 성단은 은하수의 일부에 속하기 때문에 눈으로 성단의 경계를 확인하는 것은 힘들다.실제 보이는 모습은 작은 망원경에서 약 20여개의 별들이 모여있는 밝은 얼룩으로 보이지만 망원경이 커질수록 좀더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