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된다. 물론 이 선상에 희미하게 몰려있는 별자리가 바로 염소자리와 물병자리다. 토성의
밝기
는 정확히 1등급이고 시직경은 17초 정도이다. 50㎜ 정도의 쌍안경으로도 토성의 고리를 볼 수 있다.남쪽의 밤하늘화려한 겨울철의 1등성들이 서쪽 지평선 너머로 지고 있고, 여름의 별자리들은 이제 겨우 ... ...
소행성 충돌에너지, 원시지구 생물체 살렸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둘러싸인 행성은 상당한 양의 태양에너지를 반사하기 때문에 오늘날보다 태양이 30% 더
밝기
전까지는 얼음을 녹일 수 없다는 것. 여기에 1백㎞의 지름을 가진 물체의 충돌로 얼음을 녹일 충분한 에너지가 방출했다는 것을 덧붙이고 있다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때와 팽창할 때의
밝기
차를 계산해 냈다. 그런데 의외로 이 값은 우주의 팽창이 밤하늘의
밝기
를 두배 가량 더 어둡게 할 뿐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비록 우주가 팽창하지 않더라도(지금보다 두배 밝아지더라도) 밤하늘은 밝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밤하늘이 어두운 주원인은 우주 팽창이 ... ...
소백산천문대 촬영 M51 초신성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일에 첫 촬영에 성공했다. 1994I는 처음 발견됐을 때 겉보기등급이 13.5등급이었으며 현재
밝기
가 계속 증가되고 있다. 초신성은 태양보다 10배 이상 질량이 무거운 별이 일생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현상이다.천문대측에서는 이 초신성에 대한 관측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미국의 커트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이론에 따르면 데이지 세계의 기온변화는 전혀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처음 태양의
밝기
가 그리 강하지 못하여 지구의 기온이 낮을 때에는 데이지들의 성장이 무척 더뎠으며 오직 적도지방 부근에서만 꽃을 피울 수 있었을 것이다. 처음으로 꽃을 피운 데이지들이 짙은색과 옅은색 꽃을 모두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따라 세어 보았더니 어두운 것일수록 그 수가 줄어드는 것이었다. 즉 별의 절대 평균
밝기
가 일정하다는 위의 가정을 인정한다면 우리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별의 숫자가 줄어든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우주가 무한히 넓다 해도 별의 수가 무한해지지 않으므로 지구에 도달하는 빛도 유한해 지게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밝은 별 하나가 있다. 목성이다. 다음달 1일에 충이 되는 이 행성은 -2.5등급의 엄청난
밝기
와 44초 정도의 시직경을 갖고 있어 달을 제외한 태양계의 천체 중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대상이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표면의 줄무늬와 갈릴레오 위성이라 불리는 이오 칼리스토 가니메데 에우로파 등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연성으로, 둘다 노란빛이고 2008년에 0.4"로 근접한다.위의 자료에서 광도는 주성과 반성의
밝기
를 +로 표시하였다. 위치각은 주성을 중심에 놓고 북극을 기준점으로 하여 반성의 위치를 동쪽으로 잰 각도이다. 연도가 의미하는 것은 분리각과 위치각의 자료가 표시된 연도일 때의 값이라는 것이다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수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하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쌍안경을 가지고 찾아보라. 수성이
밝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겨냥한다면 반드시 보일 것이다. 망원경이 있어 1백배 정도로 확대하여 관측하게 되면 아주 작은 하현달 모양을 하고 있을 것이다.■ 달과 금성의 랑데부해가 지고 조금 뒤 서쪽하늘을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볼 수 있다.본격적인 흑점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망원경을 이용해야 한다. 태양 빛은 너무
밝기
때문에 천체망원경에 의한 관측에도 아이피스나 대물렌즈에 필터를 끼워 관측하는 직시법과 스크린에 태양의 투영상을 비쳐 관측하는 투영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지면 관계로 생략하기로 한다. 주변의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