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1054년에 초신성으로 폭발된 게성운에는 중성자별이 존재한다.이 별은 0.033초의 주기로
밝기
와 전파의 강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중성자별을 펄사(Pulsar)라고 한다. 1987년 2월 23일에 우리 은하계로부터 16만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은하에서 1987A라 불리는 초신성 폭발이 관측되었다(사진9). 원래는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즉 크기는 겨우 우리 태양계만한 어떤 괴물이 은하의 중앙에 숨어서 은하 전체의
밝기
에 버금가는 에너지를 내면서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천문학자들은 이 괴물의 정체를 거대한 블랙홀이라는 '심증'을 굳힌 후 여러가지 '물증'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중이다.거대한 블랙홀 주위에도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직경의 반 정도 밖에 안되는 것이다. 천왕성은 5.8등급의
밝기
이고 해왕성은 8등급의
밝기
이다.■ 끝나버린 월식이달 29일에 개기월식이 일어나지만 우리나라에 달이 뜰 때는 이미 개기식이 끝난 뒤이다. 이 개기식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동쪽으로 한참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야 한다.■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발견할 수 없다. 그 중에서 천왕성은 약 6등급의
밝기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력하면 소형망원경으로 찾을 수 있다. 천문잡지의 위치자료와 역서의 자료 등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꼼꼼히 찾아야만 발견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저배율로 찾고 발견되면 접안경을 교환해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수도 있으며 극한등급을 선정하는 데도 약간의 임의성이 개입되므로(심각형 안의 별이
밝기
순서대로 포진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 분석결과를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별이 똑같이 8개가 보이더라도 밤하늘의 어두운 정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방법으로는 차이를 알아낼 수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가능하다. 천왕성은 5.8등급의
밝기
와 3.6초의 시지름을 갖고 있고, 해왕성은 7.9등급의
밝기
와 2.2초의 시지름을 유지한다.■ 몰려있는 행성들이달 15일경 처녀자리와 천칭자리에는 태양계내의 많은 천체들이 집합한다. 스피카를 중심으로 바로 곁에는 그믐이 된 달과 더 이상 관측이 불가능해진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0.7도 부근에 산개성단 M21이 함께 보인다. ■ M8(라군성운)삼렬성운보다도 2배 이상 크고
밝기
도 맨눈으로도 보일만큼 충분히 밝다. 40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NGC 653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M17(오메가성운)오메가성운 또는 백조성운으로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간상세포와 약 7백만개의 원추세포가 존재하여 시각을 형성한다. 간상세포는 O.11x이하의
밝기
에서 반응하며 명암을 구별할 수 있다. 그보다 밝을 때는 원추세포에서 반응하는데 이 세포는 색깔을 구별할 수 있다. 원추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색맹이 된다. '눈'이 아니라 '대뇌'로 본다사물이 보이는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태양 투영상을 좀더 명확하게 보이도록 해준다. 투영판이 멀어질수록 상은 커지지만
밝기
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적당한 위치를 잡도록 한다. 처음에는 태양 전체가 비치도록 저배율(MH25mm 정도)로 투영하고 세부는 고배율로 확대 투영한다. 흑점 관측 어떻게 하나태양흑점의 관측은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별명을 갖고 있다. 이것도 행성상 성운인데 시직경의 크기가 8분×5분이나 되고,
밝기
도 7.6등급이나 되기 때문에 고리성운 처럼 쉽게 찾지는 못하더라도 가장 잘 보이는 행성상 성운중의 하나이다.독수리 자리의 알파성 알타이르로부터 알비레오까지 선을 긋고 그 중앙 근처를 자세히 살펴보면 3-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