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밝게 볼 수 있는 망원경(f수가 작은 것)이 필요하고, 행성이나 이중성의 경우는 표면
밝기
는 높은 반면 시직경이 작으므로 밝게 볼 수 있는 망원경보다는 많은 확대를 할 수 있도록 초점 길이가 긴 망원경(f수가 크다)이 필요하다.즉 먼하늘 물체의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을 얼마나 밝게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서쪽 하늘에 등장한다. 이각이 동방최대이각일 때의 수성보다도 작아 고도고 낮지만
밝기
가 -3.9등급이나 되어 지평선 바로 위에서 볼 수 있다. 앞으로 금성은 10월 달까지 계속 커지면서 -4.6등급까지 밝아진다. 물론 태양과의 이각도 동방최대이각이 되는 8월 25일까지 계속 증가하여 지평고도도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뜨는 시각이 1시 21분까지 빨라지므로 새벽녘에는 천정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밝기
는 -1.9등급으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보다도 3배 이상 밝으며, 시직경은 35초 정도로 60㎜ 이상의 굴절 망원경으로도 이것의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특히 이달 7일에는 월령 25.1일의 달이 목성의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미라가 예수탄생별이라는 주장도 있다. 미라는 평균 3백31일을 주기로 3-9등급 사이의
밝기
를 반복하는 변광성이다. B.C.4년 9월29일 미라의 극대기가 바로 예수탄생을 알리는 베들레헴별이라는 것. 그 근거로는 당시 점성술에 자주 등장하는 별자리는 물고기자리가 아니고 미라가 포함된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지구쪽에서 볼 수 없는데, 만약 지구쪽에서 충돌이 일어난다면 목성은 보름달 정도의
밝기
로 빛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지구인은 이 순간을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반사광으로 관측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별한 장치 없이 소구경의 망원경을 사용하면 충돌 순간을 놓치지는 않을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유성우의 절정을 이룰 자정 때쯤이면 머리위에 위치하게 된다.이때 떨어지는 별똥의
밝기
는 꽤 밝지만 이 중 약 3%정도의 유성만이 하늘에 흔적을 남긴다. 특징적인 것은 이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혜성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니라, 지구 가까이까지 접근하는 특이한 궤도를 가지는 이카루스라는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움직이는 별을 추적 촬영하는, 즉 가이드 촬영방법을 써야 한다.가이드란 적당한
밝기
의 별을 선택하여 그 별을 망원경의 십자선 상에 놓고 이 별이 십자선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망원경의 미동장치를 조작하여 추적하는 것을 말한다. 가이드를 하기 위해선 먼저 망원경 가대의 극축을 정확히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는 일이 없고 태양 주위를 원궤도로 돌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밝기
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생각했다. 한편 피타고라스학파의 주장을 지지해 지구는 지축 주위를 자전해 겉보기 운동이 일어 난다고 주장했으나 당시에는 그의 생각을 지지하는 학자들이 없었다.그 후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관측하는 것이 흥미롭다. 하지만 4인치 망원경으로는 암흑대가 보이지 않고 단지
밝기
가 일정치 않은 은하로 보인다. 불규칙 은하에 대해선 자료도 많지 않고, 모양과 특징이 불규칙하므로 그때그때 관측하려는 대상의 특징을 자세하게 알아 두어야 한다.앞에서 언급했던 이들 성운과 성단, 은하들은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위해 점의 굵기나 농도가 다른 여러가지 점 패턴을 만들어두고 영상의 각 부분의
밝기
에 따라 다른 점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명암을 표현하는 기법. 이는 신문에 실리는 사진을 만드는 원리와 일치한다.디더링이란 원도의 컬러수를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색상수로 줄이거나 컬러를 단순한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