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체험실] 따뜻한 크리스마스, 둥글~ 둥글~ 장식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크리스마스 화환은 크리스마스트리를 만들고 남은 나뭇가지를 둥글게 엮은 뒤, 그 위에 꽃이나 리본, 구슬을 달아 만드는 장식이에요.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인 16세기 유럽에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전해지지요. 화환은 대개 둥그런 원 모양이에요. 그런데, 원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게 만드는 건 ... ...
- [이달의 과학사] 1904년 12월 10일 크리스마스 씰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크리스마스 씰’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지금은 전자우편이나 소셜미디어로 친구들과 소식을 주고 받지만, 과거에는 손글씨로 적은 편지에 우표를 붙여 전달했어요.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특히 많은 연하장이 오갔는데, 이때 우표 옆에 씰을 붙여 보내곤 했지요. 씰은 원래 우편물 ... ...
- [기획] 내 생각을 읽는다! 두뇌 해석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누군가의 생각을 읽는 상상을 해 본 적 있나요? 이제는 이 상상이 현실이 되었어요. 두뇌 해석기만 있으면 뇌 속 생각을 바로 해석할 수 있죠. 생각을 읽는 기술이 왜 필요하고,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내 생각을 읽는다! 두뇌 해석기Part1. [기획] 내 ... ...
- [기획] 내 생각을 글로! 두뇌 해석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생각을 읽는 두뇌 해석기가 있으면, 질병 등의 이유로 말을 할 수 없는 사람들도 의사 표현을 쉽게 할 수 있어요. 생각만 하면 바로 글로 나타낼 수 있는 신기한 기술! 함께 알아봐요. 생각만으로 의사표현을 한다지난 9월 미국 텍사스대학교 알렉산더 후스 교수팀이 사람의 생각을 글로 나타내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나노를 탐구하는 양자나노과학연구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1m가 10분의 1씩 아홉 번 작아지면? 10억분의 1m를 1nm(나노미터)라고 합니다. 이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로 작은 세계죠. 이화여자대학교 연구협력관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으로 어과동 독자기자단이 다녀왔습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에서는 나노의 세계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이제 키 크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아이고, 어깨야….”요즘 꿀록 탐정은 오랫동안 앉아서 일만 하다 보니 여기저기 안 쑤신 곳이 없었어요. 그래서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를 받기로 했죠. 드디어 예약한 물리치료를 받기 위해 사무실을 막 나서려는데, 누군가 다급히 문을 열어젖혔어요.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RM처럼 키가 크고 ... ...
- [가상 인터뷰] 호박벌은 공놀이를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꺄르르. 꺄르르~!”공놀이에 진심인 아기 호박벌들이 있다고 해서 만나러 왔어. 아니! 그런데…, 작업 반장 너 마저 일 안하고 놀 거니? 호박벌들이 공놀이에도 과학적 의미가 있다는데…. 자기소개 부탁해. 나는 태어난 지 이틀 된 호박벌이야. 검은색과 노란색 줄무늬가 트레이드 마크인 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소셜미디어 속 사람들이 부러운 나, 어떡하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안녕! 우리는 우주와 지구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소원을 들어준다는 원석 ‘ZEM 스톤’을 모으는 ZEM FIVE야. 앞으로 ZEM FIVE와 함께 디지털 바른 생활을 배워보도록 해. 이번 시간에는 소셜미디어의 바른 이용법에 대해 알아 볼까? 당신의 하루 평균 소셜미디어 사용량은?여러분은 소셜미디어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우주순찰대 최대의 위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뭐? 블랙홀?!”해롱 선장을 포함한 모두가 놀라 자빠질 뻔했습니다. 그때 발밑에서 강한 진동이 느껴졌습니다.“드디어 시작이로군. 초무한증폭엔진이 작동을 시작했어. 가장 가까운 블랙홀까지는 한 시간도 안 걸린다.”라일락이 중얼거리자 딱지가 서둘렀습니다.“빨리 가요!”“잠깐, 준비를 ... ...
- [특집] 인류의 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현재 지구에 사는 인간은 모두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단 한 종입니다. 하지만 수십만 년 전 유럽에는 네안데르탈인, 러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는 데니소바인이라는 인류가 있었죠. 과거를 다녀온 것도 아닌데 지금은 사라진 인류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스반테 페보 박사는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