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알아들으면 큰 사고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포를 쏠 지점이 좌표 위에서 (4, 5)이라는 지점이라고 하면, ‘넷’과 ‘다섯’이라고 발음했을 때 잘못하면 ‘셋’과 ‘여섯’이라고 알아들을 수 있다. 그러면 전혀 다른 위치에 포탄을 쏘게 되고, 적군이 아닌 아군이나 민간인이 피해를 입을 수도 ...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안정된 평형점이 한 개뿐이기 때문이다.평형점은 평평한 면에 놓았을 때 넘어지지 않는 지점을 말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는 안정한 평형점인 면이 6개다. 이에 비해 곰복은 배 부분에 한 개의 안정한 평형점이 있다. 이 때문에 어떻게 놓아도 하나뿐인 안정한 평형점이 바닥에 닿도록 돌아가려는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다.사람도 종종 이 원리를 따라 움직인다. 어딘가 가고 있을 때 현재 위치와 목표 지점 사이에 사람이 붐비는 구역이 있고 한산한 구역이 있다면 한산한 곳에서 움직이는 시간을 늘려 전체 시간을 단축하려 한다. 바닷가에서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는 구조대원도 육지에서 뛰어가는 시간과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정렬, 응집 규칙에 따라 효과적으로 움직인다.이처럼 무리지어 움직이는 동물들은 목표 지점을 인식하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가장 가까운 동료들과 자신의 관계를 점검하면서 속도와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동물들이 무리짓는 원리를 ‘상태 없는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다. 공에도 스위트 스폿이 있다. 바로 공의 가장 볼록한 지점에서 약 1.9cm 아래 떨어진 지점이다.공을 맞힐 때 각도도 중요하다. 을 쓴 로버트 어데어 예일대 물리학과 교수는 공이 배트에 맞아 35°로 날아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고 계산했다. 만약 강한 뒷바람이 분다면 최적 ...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기록의 한계 때문이다.PFX는 공이 투수의 손을 떠난 지점에서 홈 플레이트가 시작되는 지점 직전까지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그런데 류현진의 슬라이더는 최대한 꺾이지 않다가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크게 변화한다. 타자 입장에서는 공이 타자 가까이에서 변할수록 타격하기 어렵기에 류현진의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태어난 후지산일본 열도가 화산과 지진으로 늘 요동치는 것은 판과 판이 만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태평양판, 필리핀판, 북미판, 유라시아판 등 무려 4개의 지각판이 만난다. 유라시아판과 북미 판은 대륙판,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은 해양판이다.해양판은 판과 판이 갈라지는 경계인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보면 중앙해령 6만km 구간 중 탐사가 이루어진 구간은 약 20%밖에 안 된다. 더구나 탐사 지점 간에는 약 100 km의 간격(조사 미구간)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열수구와 그곳에 서식하는 새로운 종들 그리고 이미 밝혀진 열수생물의 자매 집단들이 미래에도 계속 발견될 것이다. 잃어버린 ...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쥐고 걸어다닙니다. 막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걷다가 두 막대가 교차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 아래에 수맥이 있다는 식입니다.수맥파? 그런 거 없다!다우징은 역사가 수백 년이 넘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작도 과학이라기보다는 마술에 가깝습니다. 땅속에 수맥이 있을 때 막대기가 회전하는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상태를 경험하면 좋다. 통념과 달리 일은 여가보다 몰입을 경험하기가 쉽다. 규칙, 도전 지점, 되먹임(피드백) 등의 과정이 있어서 몰입 상태로 더 잘 이끌어 주기 때문이다. 성공을 원한다면 자신이 이 상태를 맞을 준비를 하면 어떨까. 능숙해질 때까지 노력하고, 그 능력으로 어려운 것에 도전한다.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