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인간, 장소 세 가지 분야의 열 세 작품이 영예를 안았답니다. 평생 한 번 가기 힘든 극 지점의 일상부터 바다 속의 질서정연한 행진까지, 사진 속에 담긴 지구 곳곳의 풍경을 만나 봐요. 얼음 속 물 찾기남극의 평균 기온은 - 65℃. 조금 더 따뜻하다는 북극도 - 45℃에 달하는 무서운 추위를 ...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3호
- E, F, G로 표시한 지점이 그림➋에서는 반대로 교차한다.그렇다면 혹시 그림➊에서 E지점만 반대로 교차하는 새로운 실뜨기를 할 수도 있을까? 마틴 프로버트는 이렇게 모양은 똑같지만 실이 교차하는 방식이 다른 실뜨기가 얼마나 가능한지 매듭이론으로 설명했다. 예선 Round 3 승리의 숫자를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이뤄져 있다. 두 터널은 한 점에서 시작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다. 터널이 만나는 지점에서 레이저 빔을 동시에 두 터널로 쏜 뒤 거울에 반사시켜 돌아오게 하면 간섭무늬가 생긴다.이때 중력파가 지나가면 터널의 길이에 변화가 생겨 간섭무늬가 밝아졌다 어두워졌다 한다. 이를 이용해 터널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상쇄된다고 할 수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다른 세계의 중력이 강해지다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도착하면 무중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앞서 중력을 흉내 내는 데 썼던 원심력도 중력을 상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구보다 훨씬 무거워서 중력이 매우 강한 행성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중력이 ...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집어서 묶은 형태의 곡면이 생긴다. 이 곡면을 ‘사영평면’이라고 하는데, 어떤 한 지점에서 계속해서 걸으면 어느새 좌우가 바뀌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이한 수학적 성질은 사영기하학이란 학문으로 발전되어 현대수학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변화에 따라 기울어진 정도와 안정성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그러다가 카타스트로프 지점에 이르는 순간, 빙하가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빙하는 80%가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이런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 빙하학자들은 빙하가 녹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한 장면이다. 화재 현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다.긴급 투입된 소방관들은 발화 지점에 접근, 안간힘을 써보지만 속수무책이다.순간 무전으로 들려오는 지휘본부의 음성. ‘얼마 지나지 않아 빌딩이 옆으로 무너진다, 시간이 없다.’정말로 일부 층에 화재가 난 것만으로 초고층 빌딩이 짧은 시간 ...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선진국은 마음만 먹으면 몇 십톤이 넘는 인공위성도 목표한 지점에 정확히 올려놓는 실력을 자랑한다.발사 고도 역시 북한의 원래 계획과 차이가 있다. 계획대로라면 지구 상공 500km 원형 궤도를 돌아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지구와 가까울 때는 494.85km, 멀 때는 588.13km ...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가까워지는 지점(근일점)과 가장 멀어지는 지점(원일점)은 우주 공간 위에 고정된 두 지점이어야 한다.그런데 뉴턴역학의 예측과 달리 수성은 근일점이나 원일점이 모두 움직였다.수성의 근일점이 이동한다는 사실은 뉴턴역학이 완성된 시기부터 알려진 문제였다.그러나 뉴턴역학이 너무나도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살라저 아귈라 교수팀은 도로의 넓이와 제설차 능력을 계산에 넣고 도로가 만나는 모든 지점에 좌표를 찍어서 최소 구간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핵심은 제설차 430대가 개미나 꿀벌처럼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기존에는 제설차들이 ‘직선형’으로 움직인 반면 연구에서는 ‘왕복 곡선형’으로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