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한다. 먼저 전력이 어디에서 만들어져 어디로 가는지 예측하기 위해 전기의 발생과
흐름
, 소비량을 스스로 실시간 측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러 곳에서 수시로 만들어지는 전기를 그때그때 저장하고 빼낼 연료전지 기술도 중요하다. 복잡한 전력망의 어디에서 사고가 날지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단원에서는 자료를 수집해 읽고 분석하는 과정을 주로 공부합니다. 맨 먼저 자료의 전체
흐름
을 알기 위해 평균을 배우고 단계별로 새로운 개념들을 더해갑니다.특히 중학생 때는 주어진 자료, 즉 변량을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로 그리는 방법을 배우죠. 또 표와 그래프가 나타내는 것을 해석하는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신디 양은 밝게 웃으며 “물론 힘들 때도 있는데 하루 동안 집중해서 수학을 공부하니,
흐름
이 깨지지 않고 한 문제를 깊게 생각할 수있어서 좋다” 고 말했다.인도네시아는 한국과 다르게 7월에 새 학기를 시작한다. 그래서일까. 학교 방문 당시 교내에서 마주친 학생들은 무척이나 분주해 보였다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앞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문화와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이런
흐름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감성공학이다.감성인식 기초부터 잡는다감성과 감성공학은 최근 산업과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사실 감성공학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주장했다. 플러터는 비행기 날개를 설계할 때 고려하는 현상으로 구조물과 공기의
흐름
이 상호작용해 진동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플러터는 공진과 전혀 무관한 현상일까. 논문에서도 “넓게 보면 공진의 정의와 완전히 어긋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래도 익히 알려져 있듯이 바람이 일으킨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현상’이 아니라고 본다. 거대한 진화의
흐름
속에서 탄생하고 역시 진화의
흐름
속에서 멸종한 유구한 생물 역사의 한 과정으로 본다. 1억 6000만 년 동안 지속된 길고 긴 역사다.2009년 펴낸 책을 번역했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 정보를 담고 있지만 2010년 이후 정보는 없다는 점이 아쉽다. 국내 거의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있고, 전문성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려고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만들어진 것이 이런
흐름
을 말해준다. 과학기술로 승부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이러한 전문가가 앞으로도 꾸준히 필요할 것이다.한경옥 부원장은 “목표가 금융 또는 경제 전문가라면 문과를 전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2007년 도입한 산림항공관리본부 헬리콥터의 촬영장치와 항공 라이다(LiDAR)로 실제 토석류
흐름
정보를 수집해 비교했다. 그 결과의 경우 이번에 산사태가 난 춘천과 우면산은 각각 63%와 42%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마지막으로 어떤 곳에 집을 지어야 산사태나 토석류 피해로부터 안전할지 알아보자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의 전력시스템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 낭비를 막고 전력
흐름
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하면 원자력, 풍력, 태양광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분산 전원을 이용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더 효율적으로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포스텍, GIST, UNIST 등 이공계 중점대학을 설립해 이공계 인력을 양성해 왔다. 세계의 경제
흐름
이 아시아로 향하고 있다는 점도 한몫을 했다. 전 세계 인구의 2/3가 속해 있는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시장이다.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지리적인 요충지인데다 젊은 인구층이 두꺼워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