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데에서는 공기 속도가 빨라지지만, 초음속 상태에서는 반대로 통로가 넓어질수록 공기
흐름
이 빨라진다. 즉 엔진으로 공기를 천천히 들여보내려면(마하0.3 정도) 통로가 좁아야 한다. 그런데 엔진에 사용되고 남은 공기가 뒤로 빠져나갈 때에는 이보다 빨라야 한다. 마하3 정도로 공기를 뿜으면서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며 “나노입자의 환경평가는 세계적으로 뚜렷한
흐름
”이라고 설명했다.한상록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사무국장은 “국내 나노업체도 친환경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 방안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없다. 낮은 구름은 땅에서 부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높은 구름은 지구 대기의
흐름
에 따라 움직인다. 한때 구름의 속도를 0에서 3까지 나눠 기록한 적이 있다. 최근에는 구름의 위성사진을 30분마다 확인할 수 있어 속도는 따로 관측하지 않는다 ... ...
수학 성취도, 수도권 저조하고 충청권 약진한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2009년까지 진행되던 성취수준을 새롭게 설정해 이전과 다소 차이가 있다”며 “큰
흐름
에서는 비슷하게 볼 수 있어 이전 자료와 비교가 가능하지만 작은 비율의 차이까지 비교ㆍ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학업성취도 평가 등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기공의 개폐 조절은 공변세포의 팽압을 조절함으로써 이뤄진다. K+, Cl- 이온 등의
흐름
을 조절함으로써 공변세포 내의 팽압을 조절할 수 있다. 팽압이 증가하면 기공이 열리고 팽압이 낮아지면 기공이 닫힌다. 기공을 구성하는 공변세포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수분이 부족할 경우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고리)형’ 토폴로지는 버스형 토폴로지를 구부려 고리 모양으로 이은 형태다. 데이터의
흐름
이 한 방향으로 이뤄진다는 점은 버스형과 같지만 데이터의 분산이 잘 이뤄져 병목 현상이 드물다. 하지만 구조가 폐쇄적이라 새로운 네트워크로 확장하거나 구조를 변경하기는 어렵다.‘스타(별)형’은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는 동료의 움직임은 고려하지 못한다. 하지만 물고기는 몸 측면을 통해 물의
흐름
등 유체역학 신호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좌우와 상하 모든 방향의 정보를 수집해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이동할 때도 새보다 패턴이 정교하다.메뚜기나 벌, 호수파리와 같은 곤충은 새나 물고기보다 훨씬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너그럽게 포용한다.][❸ 자루 모양의 그물인 안강망을 설치해 둔 모습이다. 조류의
흐름
에 따라 물고기가 움직이다가 여기에 걸린다. 그물에 앉은 갈매기는 물고기가 걸리기를 기다리는 걸까.] [❹ 우도에서 바라본 해안의 모습이다. 사격 연습용 표적과 철책이 눈에 띈다. 철책 너머로 보이는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모형배를 띄워 두고 불철주야로 연구하고 있다.이 밖에도 요트의 돛 형태를 바람의
흐름
에 맞춰 설계하는 ‘유체구조연성’ 등 선박공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을 선박에 응용해 어뢰 같은 특수 무기 역시 개량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 교수는 “자세한 내용은 ...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BIPM)의 발표를 따르거든. 시간단위의 정확한 기준이 되는 거지. 1초에 대한 정의는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왔어. 내가 자세히 설명해 줄게. 아~. 내가 생각하던 1초는 아주 옛날에 사용했던 정의구나. 사실 지금까지 나는 1초 때문에 전전긍긍해 본 적이 없어서 1초를 정확히 정의해야 할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