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d라이브러리
"
흡수작용
"(으)로 총 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인간이 대기로 날려보낸 이산화탄소 가운데 59%만이 대기중에 남아 있을 뿐 나머지 41%는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도대체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갔을까? 이것이 우리가 풀어야 할 수수께끼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미래에 대해 관심이 있는 과학도라면 야망을 품고 도전해 볼 만한 수수께끼가 하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무수히 많은 탄소화합물들이 나름의 체계를 갖고 분류되는 까닭은 '금기의 영역'에 도전한 과학자들의 공헌 덕택이다.알코올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술을 연상한다. 그리고 램프의 연료로 사용하는 마실 수 없는 알코올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부동액이나 서리제거제로 사용하는 것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우리가 사는 지구는 탄생 이후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을까. 또 미래에는 어떤 모습을 하게 될까. 판구조운동을 통해 알아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약 60억년 전 태양의 모체가 만들어진 후, 약 46억년 전에는 태양주위 성운으로부터 지구가 탄생하게 된다. 지구가 핵, 맨틀, 지각으로 분리된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알칼리는 아랍어로 '냄비에서 태운다'는 뜻이다. 옛날 아랍인들은 해초를 태운 재를 물에 녹여낸 것을 알칼리라고 불렀다.오늘날 비누는 음의 치료, 성병예방, 피부감염, 외상과 화상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 비누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아랍인들이었다. 또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대체 에너지원을 이용한 발전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선진국들은 우주태양발전 우주원자력발전 등 우주발전에 관한 연구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와 지구환경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우주발전은 어떤 것인가.지구문명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진행된다면 오는 2060년 지구에 필요한 전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이런 의문은 지구상에 인류가 태어나면서부터 제기돼 온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정확한 답을 우리는 찾지 못하고 있다.아메리카 원주민의 전설중에 지구의 역사와 관련된 것이 있다.1519년 스페인이 멕시코 원주민 아즈텍(Aztec)족이 세운 아즈테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예로부터 생존의 필수품으로 인식돼온 소금. 매일 섭취하면서도 무심결에 지나쳐온 이 백색의 광물질이 몸에서 맡은 역할을 살펴보니…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양소인 소금(NaCl)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식품의 하나다. 흔히 소금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드는 것으로만 알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화학 반응에서의 평형은 정적 평형이 아닌 동적 평형이다. 화학 평형은 반응물질의 양과 생성물질의 양이 균형잡힌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질소와 수소로부터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수소와 질소를 모두 소모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반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어떻게 비물질인 마음이 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또 물질인 뇌가 어떻게 마음을 움직이는 것일까. 뇌와 정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오늘도 여러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다.혹시 '유령의 팔'(Phantom limb)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것은 새로 개봉된 공포영화의 제목이 아니라 병원에서 특정 환자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우리 몸에서 눈만큼 작으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기관도 흔치 않다. 사물이 보이는 이치는 뭘까. 눈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자.척추동물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상당히 유사하다.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은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고 초점이 조절되므로 망막에 도립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에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