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년제"(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종종 그럴 때가 있다. 타인을 향한 말과 몸짓이 되려 자신을 감싸고 위무하는. 전 인류에겐 ‘골든 레코드’가 어쩌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에는 골든 레코드라고 불리는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 ... ...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과학실험을 가장 좋아하지만, 실험을 하지 않는 시간엔 우아하게 영화를 보곤 하지. 역시 영화엔 고소한 팝콘 아니겠어? 푸푸, 어서 팝콘을 가져와….음? 이 냄새는 팝콘 냄새잖아? 푸푸, 제법인 걸? 아니, 그런데 팝콘은 없고 처음 보는 동물이 소파에 앉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거대 도시를 웅장하게 만드는 건 초고층 건물들이다. 서울도 올해 ‘롯데월드타워’가 본격적인 ‘100층 시대’를 열 예정이다. 시공 중인 건물을 포함해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지역에 건설되고 있는 ‘킹덤타워(지다타워)’다. 킹덤타워는 2019년 완공을 목표로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거대해질 대로 거대해진 도시. 하지만 도시도 수명이 있고, 미래의 건축물을 위해, 혹은 녹색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언젠가는 해체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초고층 건물들과 교량, 터널 등 메가 스트럭처를 철거하는 게 우선. 입이 떡 벌어질 만큼 거대한 이 건축물들을 어떻게 철거할까.63빌딩을 없앤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내 아이가 둘인디, 적어도 한 명은 딸이여.”“그런가?”“저기 지나가는 쟤가 내 딸이여.”인심 좋은 어느 시골 마을에서 경찰로 근무하는 박종구 씨는 오랜만에 만난 친구에게 자신의 딸을 보여 주며 물었습니다. “내 다른 아이도 딸일 확률은 얼마겠나?”종구 씨의 친구는 잠시 고민하다가 입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 회사가 망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시도한 사업은 바로 흥부놀부 이야기를 흉내내서 박씨를 심어 보겠다는 것이었다. 처음 그 말을 듣고 나는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농담이라고 하기에는 재미가 없었다. 우리 회사의 유일한 장점은 농담이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7월 19일(현지시간)오후에 브라질에 입성했다. 개회식 전에 예선경기가 있기 때문에 다른 종목선수들보다 조금 먼저 도착해 적응훈련을 시작했다.]아나운서 구그미 안녕하세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이모저모’의 아나운서 구그미입니다. 오늘은 첫 시간으로 원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기자가 겪어본 최고의 피서는 대학생 시절의 여름 방학이다. 방학을 맞아 선풍기를 켜고 나무늘보처럼 아무것도 안한다면, 그곳이 천국이다. 그런데 최고의 피서를 반납하고 매일 학교로 향하는 학생들이 있다. 좋은 시절을 포기하고, 연구와 실험으로 더위를 이기는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황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패드와 베스토 슬라이퍼는 특이한 나선은하를 발견했다. 지구에서 약 4700만 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 은하(NGC 1068)였는데, 다른 은하에서는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