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스페셜
"
결합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당연하게도 만유인력의 법칙을 벤치마킹했을 것이다. 심지어 화학현상에서 물질 간 화학
결합
의 차이를 화학 친화도의 차이로 설명하려고 했는데, 이 개념 또한 근거리 인력으로서 만유인력에서 차용한 개념이다. 한편 뉴턴은 빛 또한 아주 미세한 입자라고 여길 정도로 입자론의 신봉자였는데 ... ...
코로나19 에이즈바이러스와 관련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모델링한 결과 구조적으로는 매우 다르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세포와 바이러스간 강력한
결합
을 만드는 독특한 구조라는 주장이 틀렸다는 얘기다. 또 바이러스들의 수용체만 비교해보니 오히려 코로나19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간 유사성이 97.7%에 이르러, 박쥐가 원 숙주이며 중간 매개 동물을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섬유가 실뭉치처럼 말려 있는 형태인 단백질의 1차 구조인 아미노산에선 3개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발견했다. 이 중 하나가 위로 고개를 든 형태를 가져 ACE2에 더 쉽게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측정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보다 ACE2 수용체에 최대 20배 잘 달라붙는 것으로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철원 책임연구원·박성규 연구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향상시키고 최고의 잠수함을 개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막
결합
형 하폐수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해 한국 분리막 수처리 환경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기술은 미생물을 활용해 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기존 기술 중 공기가 필요한 미생물을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결과인 셈이다. 맥키논 교수는 “아로코스는 카이퍼 벨트 현지 재료와 함께 천천히
결합
한 특징을 갖고 있다”며 “더 혼란스러운 환경에선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존 스펜서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 우주연구부 연구원팀은 아로코스의 분화구 밀도를 토대로 표면이 ... ...
[표지로 읽는 과학]결함이 생겨도 잘 작동하는 반도체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반도체는 전자와 양공이 재
결합
할 때 빛이 나오는 현상인 ‘재
결합
발광’ 일으킨다. 이 현상을 활용한 레이저를 반도체 레이저라 부른다. 전기로 구동되는 반도체 레이저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레이저 중 하나로 광섬유 통신에서 레이저 인쇄 및 바코드 리더 등 일상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도착해 발사 준비에 돌입했다. 위성 상태를 점검하고 연료 주입, 발사체
결합
등 준비를 마치면 2월 19일(한국시간) 오전 7시 14분경 유럽의 발사 서비스 기업인 아리안스페이스의 발사체 ‘아리안 5호’에 실려 우주로 떠난다. 대기 오염물질 관측하는 세계 첫 정지궤도위성 한국은 1992년 우리별 ... ...
올해 AI 대학원 7개 더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따르면 올해부터 AI 융합과정이 신설된다. AI 융합과정은 다른 분야 지식에 AI를
결합
하는 인재를 기르는 융합대학원 프로그램이다. 기존 AI 대학원 프로그램은 3개 기관에 최대 10년간 190억 원이 지원된다. AI 융합과정은 4개 기관에 최대 3년간 41억 원이 지원된다. 또 AI 학과 신설을 필수화했던 대신 ... ...
사스, 메르스...‘신종 코로나’도 정식 이름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7
표면 단백질과
결합
하면서 감염이 시작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ACE2라는 단백질과
결합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CDC 제공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이 조만간 공개될 전망이다. ‘중증호흡기증후군(SARS)’처럼 이해하기 쉽고 짧은 이름이 유력시된다. ... ...
"2번 환자 치료한 에이즈약 부작용 가능성" 안전한 치료제 개발에 AI도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모델링했다. 그 결과 B세포와 T세포 등 면역세포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결합
하는 수용체와 매우 닮은 것이 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현재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이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역시 이것을 표적으로 하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