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스페셜
"
결합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뉴로이미지’ 제공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헤디온이 VN1R1뿐 아니라 후각수용체에도
결합
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VN1R1이 감지한 정보는 뇌하수체로 전달돼 페로몬 신호에 대한 반응(행동)을 유도했을 것이고 후각수용체가 감지한 정보는 후각상피로 전달돼 우리가 ‘자스민 향기’로 인식하게 했을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알레르기성 천식 환자는 아마 어떤 기생충에 감염되어 이미 알레르기 항원이
결합
할 수 없도록 비만세포를 포화시켰다는 것이다. 이를 'IgE 차단 가설'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알레르기의 원인은 혹시 놀고 있던 IgE 때문은 아닐까? 기생충 감염을 위해 싸워야 할 Ig E이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결국 물분자들이 일정한 배열로 놓인 결정인 얼음이 된다. 이때 물분자 사이에 수소
결합
을 이루기 위한 공간적 배치 때문에 얼음의 밀도는 물보다도 낮아진다. 그런데 얼음을 이루는 모든 물분자의 상태가 똑같을까. 학창시절 조회시간을 떠올려보자. 학생 수백 명이 1미터 간격으로 오와 열을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수십 분 안에 발생하하고 며칠까지도 이어진다. II형은 세포 표면에 IgG나 M 항체가
결합
하면 일어나는 반응인데, 수혈 부작용이 대표적이다. III형은 항원과 항체가 결함한 면역복합체가 신장이나 폐를 지나다가 걸려서 보체를 활성화시키고 염증으로 인해 조직이 파괴되며 나타나는 반응을 ... ...
외계행성 정밀 탐사 우주망원경 '키옵스' 내일 발사(종합)
연합뉴스
l
2019.12.17
순간적으로 별빛이 줄어드는 식(蝕)현상을 포착해 행성의 지름을 파악하고, 질량 정보를
결합
해 행성의 특징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정보인 밀도를 알아내게 된다. 행성의 밀도는 행성이 바위로 구성돼 있는지 아니면 가스로 돼 있는지, 금속 핵을 가졌는지, 바다가 존재하는지 등 행성의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질량보존분석법을 활용해 빙하의 움직임 정보를 얻고 이를
결합
해 해상도를 두 배 높였다. 그 결과 남극 동쪽 덴먼 빙하 아래에서 해수면 아래 3500m 깊이의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협곡이 발견되는 등 남극대륙의 다양한 특성이 드러났다. 스웨이트 빙하 인근의 지형도다. 내륙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글루텐이 뇌 염증, ADHD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없다. 김영보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 혈관 장벽은 세포와 세포간 통로(갭
결합
)가 매우 조밀해 큰 분자는 막고 작은 분자만 통과시켜 뇌를 보호한다"며 "글루텐이 얼마나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한 누수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세밀한 정보를 알아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까지 ... ...
"사람 몸에 이로운 미생물 섞어 질염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정착해 여성건강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질내에서 단백질과
결합
해 항균효과와 항염증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RC-14은 1985년 건강한 여성의 질에서 분리됐다. 질뿐만 아니라 소장과 대장에서도 발견되는데, 내산성이 강하고 특히 그람양성 병원균에 대해 ... ...
미래 공장은 무엇으로 구성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미국의 제조공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용 센서와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을
결합
하고 기계학습을 적용한 새로운 제조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유라메트 제공 ⑧ 프로젝트 기반 기업 제조회사는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제품을 만들고 공급하는 고정된 조직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말했다. 앞으로 발전할 의학 분야로는 유전체(게놈) 해독과 단백질 생화학을
결합
한 유전자 기능 연구를 꼽았다. 케일린 교수는 ‘인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사람과 사람이 연결돼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것이 과학이다. 케일린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