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1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드름과 염증 치료하는 투명 온열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제작했다. 제작에는
전기
수력학 프린팅 기법이 사용됐다.
전기
수력한 프린팅 기법은 정
전기
적 힘으로 전극물질과 전해질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정밀하게 출력한다. 전극과 배터리는 통신 회로와 연결돼 무선으로 패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패치를 피부에 1분 정도 온열을 가한 후 ... ...
임상3상 돌입한 코로나19 백신후보 최소 2개… 中기업 약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개발해 임상 2상을 하고 있다. 미국 이노비오와 국제백신연구소(IVI)는 RNA 대신 DNA를
전기
를 이용해 체내에 주입하는 방식의 백신을 연구해 임상 1,2상 중이다. 인도 카딜라 헬스케어 사 역시 DNA 방식 백신을 개발해 2상을 실시하고 있다. 노바백스는 항원 단백질을 직접 주입하는 단백질 방식 백신 ... ...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에서 AI 구현하는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다루는 인공지능(AI) 기술인 기계학습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KAIST는 이준구
전기
및전자공학부 및 AI 양자컴퓨팅 IT 인력양성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이 독일 및 남아공 연구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양자컴퓨터에서 비선형 기계학습을 시킬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얼굴 인식을 넘어 추적 기능까지 갖춘 기술이 등장했다. 전문구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이 폐쇄회로(CC)TV 카메라와 열화상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해 얼굴 인식은 물론 개인 식별까지 가능한 AI 발열 확인 시스템을 개발했다. 얼굴 부위에 이상 고온이 발생하면 경고가 나온다. ... ...
"KAIST 교수·대학원생들과 함께 온종일 AI 코딩 세계에 빠져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06.28
소감을 밝혔다. ‘1day 코딩 실습’에 참가한 노완섭 군(왼쪽 단상)이 김정호 KAIST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오른쪽) 앞에서 미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대전=서동준 기자 bios@donga.com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압축하고 팽창시키는 순환과정을 돌리지 않으면 냉장고가 작동하지 않는다. 모터와
전기
에너지를 모두 포함시키면 당연히 전체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제2법칙은 고립된 계(isolated system)에 적용되는 법칙이다. 엔트로피가 낮아진다는 것은 질서가 높아진다는 뜻이다. 일을 해서 엔트로피를 낮춰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1.78까지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무작위로 배열된 붕소와 질소가
전기
장을 상쇄해
전기
를 덜 흐르게 만든 것이다. 얇은 비정질 질화붕소는 반도체 공정에 상용화된 기존 유전체 물질 정도로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재료는 반도체 공정에서 쓰이는 400도 고온 증착 과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클라우드 전략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디지털변전소 핵심 통신기술 ‘IEC61850 GOOSE’의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전기
연구원이 자격을 획득한 GOOSE 성능시험은 UCAIug가 인정하는 IEC 61850 통신 적합성 7대 시험분야 중 하나로 디지털변전소의 핵심 구성요소인 지능형 전력기기 간 상호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GOOSE 메시지’의 ... ...
"코로나19 중환자, 부정맥 발생률 10배"
연합뉴스
l
2020.06.24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발생하는 심근경색과는 달리 심장을 수축시키는
전기
활동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정맥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부정맥 학회(Heart Rhythm Society) 학술지 '부정맥 저널'(Heart Rhythm Journal) 최신호(6월 22일 자)에 실렸다. ... ...
벌집 모아 더 큰 벌집 만드니
전기
더 잘 흐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고분자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해 저항의 방해 없이
전기
가 얼마나 잘 전달되는지 비교한 결과, 실리콘보다 최대 4배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빛을 검출하는 소자로 제작해 본 결과 자외선부터 적외선까지 넓은 빛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