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문제, 힉스입자의 발견 가능성 등 새롭게 접근할 과제들이 떠오르고 있지만, 당
분
간은 아주 가벼온 액시온 이론에 매진해 이를 더욱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한국과학상을 수상하기 위해 현재 초빙교수로 있는 미국 미시간대학에 급히 귀국한 김교수는 16일 다시 출국했다. 그러나 금년 8월말이면 ... ...
서울의 하수처리시설 끝내 한강이 더욱 맑아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없다. 서울외곽 수도권 도시의 하수가 한강으로 흘러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
분
은 현재 건설부가 약 1천5백억원을 들려 건설중인 춘천 구리 성남 안양 등지의 하수처리장이 오는 90년까지 모두 완공예정으로 진척되고 있다. 이 공사가 끝나면 한강유역에서 흘러드는 생활하수와 공장폐수가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네에"하고 일제히 합창한다. "이걸 들이마시면 상습자가 돼요. 헬륨의 밀도는 공기의 7
분
의 1밖에 안돼요" 그는 일부러 얼굴을 찌그린다. 다음에는 플루오르화황을 드리마신뒤 소리를 내보인다. 이번에는 흡사 무덤에서 나오는듯한 신음소리와 같다. 학생들은 일제히 웃음을 터트린다. 웃음소리가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교수는 "유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대해 대부
분
의 청중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고 학회의
분
위기를 전했다. 아울러 김교수는 연구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밝혔다. "실험방법과 데이타, 측정의 정밀도 등에 아쉬움이 남는다. 좀더 과학적인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타난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자극하여 하반신을 움직이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낸시는 5개월간 훈련으로 원래 근육의 4
분
의3까지 회복시켰다. 이것은 효과가 대단히 빠른 편이다. "전에는 거의 없었던 다리의 감각이 약간이지만 되돌아 온것 같은 느낌이다" 낸시는 이렇게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 ...
우리의 옛 선조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만들었다. 그러나 (비례의 감각을 꼭 유지한다면) 원인들은 여전히 지구존재의 마지막 1천
분
의 일 동안에 존재해 왔을 뿐이다. The human species is a newcomer on Earth. We haven't been here for long compared with Earth's mighty lifetime, but we have ...
혈액검사를 3
분
반 동안에 해내는 새로운 장치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찍혀나온다. 시약은 검사목적에 따라 48종 중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분
석에 시간이 걸렸으나 새 장치는 진료중에 바로 검사결과가 밝혀지므로 병증을 조기확인하고 신속한 치료로 대처할 수 있으며 오래 걸리는 검사기간 동안 혈액이 변질되어 생기는 오진이나 검사 미스를 피할 ... ...
정글의 지게차 코끼리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7천여마리였다. 아마도 현재의 상태로 나간다면 앞으로 15년내에 코끼리의 수는 현재의 3
분
의 1로 줄어들 것이다. 타이에는 왕궁내에서만 산다는 흰코끼리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모든 코끼리 조련사들은 악마를 쫓는 주문을 욀때 흰 코끼리의 이름을 부른다. 그러난 흰 코끼리는 한푼어치의 가치도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겨냥한 미사일 로킷발사에 성공했다. 이것은 서방자유진영엔 큰 충격을 주기에 충
분
했다. 1984년9월까지 중공은 16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는데 성공했고 그 가운데 6개는 계획했던 예정대로 영토내에서 지상회수를 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미국, 소련에 이어 세번째의 보유국이 된 셈이다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좋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지금의 과학기술대는 학생들의 의견을 모아 숨막히는 경직된
분
위기를 스스로 극복했고 조기졸업에 연연하지 않는 유연함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과학기술대 졸업생이 대덕연구단지 내에 다수 근무해 새로운 선후배 관계를 형성하고, 대덕이 전형적인 테크노폴리스로서 ... ...
이전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