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타난다. 밝은 별 옆에 있어서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천체망원경으로는 제타성
바로
옆에 나뭇잎처럼 펼쳐진 NGC 2024 성운이 뚜렷이 보인다. 이 성운을 자세히 보려면 별빛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타성을 시야 밖에 두고 관측하는 것이 좋다. 이 성운의 모습은 마치 나뭇잎처럼 생겨서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결국 양과 리는 이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된다. 노벨상의 역사상 이론이 나온
바로
이듬해에 상이 수여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고 그 뒤에도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실험에 대해 197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이론 물리학자 압두스 살람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나는 친구에게 왼눈만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등동물보다 훨씬 더 분업화되고 전문화된 형태로 협력하도록 진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비슷한 유전자 수를 갖고서도 다른 동물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결이다.작은 단백질들이 협력하는 ‘벌떼 작전’ 한 개의 커다란 단백질을 만드는 것이 더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밤을 밝혀준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지상의 밤을 구석구석 꼼꼼히 밝혀주는 것은
바로
가로등이다. 야간열차를 타고 아무리 달려도 유리창너머 사라지지 않고 이어지는 가로등의 노르스름한 불빛. 그런데 도대체 사람들은 언제부터 가로등을 켜고 살았을까?파장 길어 멀리 보이는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들어가지 못한다. 두개골에 구멍을 내 직접 투여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뇌로
바로
전달되는 작은 분자량의 또다른 신경성장인자도 찾고 있다.최근 미국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는 약물 중독 치료 원칙을 발표했다. 자의든 타의든 중독자를 병원에 입원시키는 등 적정 기간 동안 치료가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결절 속의 섬모를 분석한 결과 이를 움직이게 하는 회전모터가
바로
부르크너 교수팀이 발견한 왼쪽-오른쪽 다이네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지난 2002년에는 사람에서도 생쥐의 왼쪽-오른쪽 다이네인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즉 DNAH5라는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번에는 여학생이 물체에서 손을 떼자 물체는 그 상태로 자석 위에 떠있었다.“이것이
바로
초전도체랍니다.” 지난 10월 27일 대전지역 남녀 중학생 15명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을 찾았다. 초전도체 완전 정복이 목표였다. 중학교에서는 아직 전자기학을 제대로 배우지 않기 때문에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제일 먼저 멋진 남자친구를 만들 거야. 나의 미모로 봐서는 아마 미팅 한번만 나가면
바로
생길 것 같은데. 그럼 남자친구 만드는데 이틀 정도면 되겠는걸. 만나는데 하루, 프러포즈 받는데 하루.모험이 : 슬기야, 내 생각엔 말이지, 그건 좀 무리가 아닐까 하는데. 남자친구 만드는데만 꼬박 30일은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비퀴틴과 같은 물질이었던 것이다! 분해될 단백질을 찾아 입을 맞추는 주인공이
바로
유비퀴틴이란 얘기.예상치 못한 행운에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붙을 때 E1, E2, E3라는 효소들이 차례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뿐만 아니라 유비퀴틴이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E1에 결합할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참여했을까? 그리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이번 여름과학축제의 행사 책임자가
바로
슈투트가르트공대 기계공학부 학장인 과학자라면 대답이 될 것이다. 홍보 담당 매니저 슈패스 씨는 “내 생각에 과학자들이 3천명 정도는 참여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사실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 ...
이전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