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메이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정겨운 가을의 정취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커피.볶은 커피 원두에서 배어나온 짙고 달콤한 향은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왔다. 이제는 누구나 커피메이커 하나쯤은 갖게 됐다. 잘게 부순 원두에 뜨거운 증기를 통과시켜 원액을 얻는 커피메이커의 원리를 자세히 살펴봤다.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부산까지 14시간이 걸렸다는 것은 14시간 전에 출발한 차를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다.
바로
지금 부산으로 출발하려는 운전자에게 14시간 전의 도로 상황은 이미 소용없는 정보가 돼버린 셈이다. 수시간 후의 도로 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또한 도로를 건설하기 전에 완공 후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IT) 장관직을 수행하는 지금까지 분석적인 태도와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준 것이
바로
수학과 물리학이었어요. 합리적인 판단을 했으니 누구 못지 않은 ‘화끈한 결단력’도 나올 수 있었죠.”물론 이뿐만이 아니다. “사실 반도체와 가장 연관이 깊은 분야가 수학과 물리학이에요. 서울대 ... ...
몸속에 숨은 아코디언 가로막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 같은 근육들의 도움을 받아 숨을 들이쉰다. 가로막 운동을 주로 이용하는 호흡방법이
바로
복식호흡이다.가로막이 갑자기 수축 또는 경련을 일으키거나 성대가 갑자기 닫히면 호흡기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아서 특징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이것이 딸꾹질이다. 뜨거운 음식을 삼켰을 때나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얼마나 안정적으로 자연스럽게 걷는냐는 것입니다. 아시모도 옆에서 가볍게 툭 치면
바로
쓰러집니다.”오 교수는 로봇의 뼈대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고 말한다. 문제는 로봇을 움직이게 만드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다. 두 다리를 차례차례 이동하고 이에 맞춰 무게 중심을 옮겨야 한다.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발생하는 공기의 움직임이다. 바람을 과학적으로 표시하려면 두 성분이 필요하다.
바로
어느 방향이냐는 것(풍향)과 얼마나 세냐는 것(풍속)이 그것이다. 바람길은 시시각각 변하는 풍향과 풍속에 대해 1개월, 1계절 또는 1년과 같은 장기간 동안의 변화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에너지인 것이다.대용량의 배터리가 아니어도 전선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바로
자가발전이다. 사람은 하루에 엄청난 운동을 하고 있다. 수없이 걷고 몸을 움직이며 말을 한다. 이런 신체활동을 잘 이용한다면 훌륭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신발 바닥에 압축식 발전기를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명실공히 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실로 엄청난 성공이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모델 T’.모델 T는 기존 자동차에 비해 성능과 디자인이 향상돼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사실 모델 T가 공전의 히트를 친 것은 자동차 생산 기술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컨베이어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유지, 핵비확산에 관한 국제규범의 준수, 국제 신뢰를 바탕으로 평화적 핵이용의 확대가
바로
그것.이 자리에서 오명 장관은 “절차를 밟아서 투명하게만 하면 되는 만큼 과학자의 연구를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제4세대 원자로 문제 등 미래지향적 연구를 훨씬 더 활발히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미 존재하는 단백질 조각이다.이같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개발된 물질이
바로
‘콤프-안지원’(COMP-Ang1). 실제로 콤프-안지원을 생쥐 눈의 각막에 투여하자 혈관성장인자나 안지오포이에틴을 투여했을 때보다 건강한 혈관이 많이 생성돼 혈액의 양이 증가했다. 생쥐의 귀와 기관지에 ... ...
이전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