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벙커버스터 GBU-57을 개발 중이다. 벙커버스터가 강력해지는 만큼 지하벙커도 점점 더
깊이
짓고 있기 때문이다. 신형 벙커버스터의 무게는 1만 3600kg. 그런데 100kg의 무게만으로도 히로시마에서 폭발한 원자폭탄의 15분의 1의 위력을 낼 수 있는 벙커버스터가 있다. 바로 ‘신의 지팡이’다.최강의 비핵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듣는 사실이었기에 상당히 충격적이었어요. 열대해양체험단에 오지 않았다면 이렇게
깊이
있는 생물 지식을 얻지 못했겠지요?셋째 날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가르쳐 준 스쿠버다이빙!안재우(경북 경주고2)전 세이비아 스쿨 방문과 스쿠버다이빙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8~10m까지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76 작품이 포함돼 있다. 수학과 국어 연구를 모두 담은 황윤석 학문의 폭과
깊이
는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은 백과사전 형식의 수학·과학서다. 황윤석은 정6품에 해당하는 하급관직에 머물렀지만, 청나라를 통해 들어오는 백과사전식 책에 심취하여 수학·과학 연구에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론을 내렸다.연구팀은 “카로티노이드 분자가 모인 진딧물 껍질 0~40μm(마이크로미터)
깊이
부근은 햇빛을 받아 흡수하기 최적의 위치”라고 설명했다. “진딧물이 정말 카로티노이드로 광합성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좀 더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는 그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했다”고 ... ...
통합과학 - 고분자의 합성과 분자량 계산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화학Ⅰ의 탄소화합물 파트에서 다루고 있는 고분자 합성 방법을 양이온 교환 수지를 통해서
깊이
생각해보자. 이번 호에서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계산하는 방법인 삼투압법과 말단기 정량법을 주어진 제시문을 통해 알아본다.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최초의 해저로봇이에요. 해저 탐사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깊이
잠수를 할 수 있는 대신 빨리 헤엄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멀리 헤엄쳐 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답니다. 혹시 해저 정복에 관심이 있다면 연락 주세요. 하지만 수압 때문에 닥터 그랜마는 깊게는 못 들어갈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파장이 클수록 마루 부분에서 진행 속도가 빨라지고, 골로 내려오면 바닷물의
깊이
가 줄어든 만큼 속도가 느려진다. 그렇기 때문에 파도는 해변으로 오면서 점점 속도가 크게 줄어든다. 이것은 마치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릴 때 앞에서 달리는 차의 속도가 줄어들면 점차 그 도로 위 일정 구간 ‘정체 ... ...
달콤한 기념일의 수,14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수인 14가 기억에 남을 수도 있다. 이제 기사에서 그치지 말고 인터넷이나 책을 통해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자. 이 과정을 통해 숫자 14의 비밀을 더 알게 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그리고 그런 반짝이는 마음이 수학의 달인으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6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요?대학원에서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한다. 주로 이미지를 분석하고, 영상을 잘 보여주고, 큰 용량의 영상을 빨리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공부한다. 연구 프로젝트는 주로 X선(X-ray)을 기반으로 얻어진 이미지를 처리하는 것들이다. 연구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일상의 경험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깊이
생각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명현 군도 그랬다. 중학교 1학년 때 우연찮게 대체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사실 대체 에너지가 뭔지도 잘 모르던 때였다. 그런데 그 중 한 내용이 그에게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바로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