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데다 확장하다 보면 순수 학문만큼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번 호에 소개하는 수학적 이론인 신호 체계는 지나치게 깊은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교차로를 지날 때마다 흔히 접할 수 있으면서도 체계적이고 훌륭한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Q. 간단한 자기소개와 한국우주연구원 소개 부탁합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상률입니다. 항공 ... 항공우주가 생각하는 것만큼 화려한 분야는 아닙니다. 항공우주분야가 나에게 맞는지
깊이
생각해보고, 진정으로 하고 싶다면 시작하십시오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죽이면서 동시에 가야…….”“그것도 믿음이죠. 결국은 믿음의 문제예요.”청년은 몸을
깊이
숙였다.“우리는 몸을 모두 해체하고 가상공간으로 들어갈 수도 있어요. 하지 않는 이유는 할 이유가 많지 않아서고요. 사후세계를 믿는 사람조차도 자기 목을 치진 않아요. 결국 확신하지 못하는 지점이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같은 태양계 연구자들은 혜성 탐사를 통해 표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하고 특성을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SDO가 관측한 이번 결과는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져주는 것 같다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다. 이 곳은 예전부터 있었던 곳이다. 흔히 생태연못이라고도 부르지만 지름이 4~5m,
깊이
가 40~50cm 정도로 연못이라고 부르기에는 규모가 작다. 물론 규모가 큰 둠벙도 없지는 않다.김 실장과 작물보호실 최덕수, 고숙주 박사와 함께 논안에 들어가 봤다. 지름이 7~8m 정도 되는 원형 모양의 웅덩이가 ... ...
도전하는 예비 포스테키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관심과 열정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합니다. 그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깊이
있는 경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 느낀 것으로 본인만의 색깔을 만들어 보세요.” 지난 해 신입생 중 기억에 남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 “2011년 전국 100개 이상의 고등학교를 방문했습니다. 5월 인천의 한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빛을 빠르게 모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때 집광판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
깊이
’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에셔 박사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보다 작은 크기의 카메라로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가 스마트폰에 이용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위에 건물을 나타내는 블록을 배치하고 천장에 달린 키넥트가 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깊이
측정기로 블럭의 높이를 인식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양빛과 건물의 그림자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보여준다. 도시 공간을 설계할 때 건물이 어떻게 서로 일조권이나 미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호수(70%)와 지하수(20%), 샘물(10%)에서 얻는다. 물은 사람이 마시기에 가장 적합한 20~30m
깊이
에서 끌어온다. 수직여과장치에서 가라앉은 이물질을 제거한 뒤, 물을 부석이나 석영, 또는 모래가 깔린 여과장치에 천천히 거른다. 호수의 물은 오존을 넣어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 플랑크톤을 없애고 활성탄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비중이 커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면접은 좀 짧아요. 면접을 훨씬 길게 보고 더
깊이
봐야 합니다. 지금 30분쯤 면접을 보는데 한 시간 정도로 늘리고 세 번 정도 봐서 여러 면을 보고 싶어요.”공대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호기심이죠. 뭔가가 궁금해야 돼요. 궁금하면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