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쓰인다. 분석 결과 75%에서 최소 한 종류 이상의 네오니코티노이드를 발견했다. 두 종류 이상이 발견된 꿀이 45%나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하면 손가락 끝에 압력센서를 부착한 다음 손끝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해
남아
있는 팔 부위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손끝의 감각을 간접적으로 느끼게 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따라서 사이보그의 팔 끝에 전자 의수처럼 달린 캐논포를 작동시키는 것 자체는 일도 아니다. 남은 숙제는 좀 더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무스콘(muscone)’은 사실 동물에서 처음 발견된 향 분자다. 다른 향기에 비해 오랫동안
남아
있고, 특유의 매력적인 향 덕분에 수백 년 전부터 사랑받아왔던 ‘머스크(사향)’에 들어 있다. 천연 머스크는 중국 서부와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에서만 서식하는 사향노루의 ‘은밀한 부위’에서만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땅 속의 흙까지 태워요. 그래서 언뜻 불이 꺼진 것 같아 보여도 낙엽이나 흙 속에 불씨가
남아
있게 되지요. 잔불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람이 일일이 삽으로 땅을 뒤집고 물을 뿌린 뒤, 다시 그 땅을 덮어야 해요. 이를 위해 이번 진화 작전에 3만 8000명이나 투입됐답니다.산불 확산 방향을 예측하라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생한 입자의 빔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쉽게 나노 과학을 연구하고,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며,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그 날이 그리 멀지는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나타났다. 반면 수백 년 된 미라에는 약에 대한 내성이 없는 ‘순수한’ 결핵균만
남아
있다. 서 교수는 “결핵치료제가 개발되기 훨씬 전의 순수한 결핵균과 지금의 결핵균 DNA를 비교 분석해 결핵균이 약제를 견뎌내며 진화한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현재 폐디스토마,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그래서 1969년에 인간이 처음 달에 도착했을 당시 달에 찍힌 발자국이 지금까지도
남아
있답니다.반면 대기가 없기 때문에 하루 동안의 온도 차이가 무척 크기도 해요. 해가 있을 땐 온도가 116℃까지 올랐다가 해가 지면 영하 43℃까지 떨어지지요.어린이 지구 과학자가 되어 보자~!스미스소니언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통신사령부로 사용하던 건물을 학교로 개조한 곳이다. 전쟁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아
있었지만 웨노섬에서 만난 어린이와 학생들의 표정은 더 없이 밝았다. 특히 세이비어 스쿨 3학년에 재학 중인 한국인 박원정 양은 더욱 그랬다. 해맑은 웃음과 재치 있는 입담으로 학교를 소개했다. “이곳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비슷한 자원으로 여럿이 경쟁하면 가장 센 종이 살아
남아
요. 그런데 자연에서는 꼭 그렇지 않아요. 힘이 약한 종도 힘이 센 종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지요. 최근 장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학과 교수팀이 이런 생태계 현상을 잘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교수팀은 생태계에서 가위,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연구원은 “카시니는 사라졌지만 그가 남긴 과학적 성과는 수년 동안 우리 곁에
남아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그가 평생 동안 보내온 데이터의 산에서 겨우 표면을 긁어냈을 뿐“이라고 밝혔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