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특히 같은 식물이라도 풀과 나무는 탄소 동위원소 구성 비율이 다른데, 퇴적층에 남아 있는 유기물에서 탄소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하면 당시에 고인 물과 풀, 나무의 경계가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다. 그로부터 당시 기후가 건조했는지 습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이날 목표는 3m 깊이까지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센서로 빠르게 이동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방사형 경로 사이사이에 움직이지 않고 남아 있는 단백질들이 많았다. 임 연구원은 그 단백질들까지 센서로 이동시켜 센서의 검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로 사이에 다리를 놓을 것을 제안했다. 만들고 보니 신기하게도 거미집 모양이었다. 결과는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오고 있다. 다행히도 민정의 방 한 켠에는 고장난 노트북과 오래된 폴더형 휴대전화가 남아있었다. 현대인들이 가장 가까이에 두고 사는 것, 컴퓨터와 휴대전화. 이 두 가지 물건에 묻어있는 미생물만 잘 분석해도 주인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노트북의 주인이 민정이 아닌 X로 밝혀진다면, 두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71년부터 1880년대까지 자주 관찰했습니다. 당시 기록은 아주 다채로운 색상을 나타냈다고 남아 있습니다. 그 중 두 건은 카를 스퇴르머라는 15세의 청소년이 관찰했습니다. 그는 나중에 수학자가 됐는데, 북극광에 대한 연구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됐죠. 그는 진주구름을 보곤 “당신이 다른 세계에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걸리고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한 경우 백신을 공급할 수 없다. 또 계란의 성분이 백신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계란에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는 백신을 맞을 수 없다. 세포 배양 방식은 어떤 질병이 유행할 때 이에 대응하는 백신을 빨리 만들 수 있고, 계란에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도 맞을 수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플루오르텔로머(fluorotelomers)라는 대체물질을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가 남아있다. 첫째는 유럽 같은 선진국에서 규제하는 몇 가지 과불화화합물(PFOS, PFOA 및 C8보다 긴 사슬의 과불 카르복실산류)이 전체 과불화화합물의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다. 과불화화합물은 탄소 수나 작용기를 바꿔 ... ...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 수가 줄어들어 한국엔 한 마리도 남아 있지 않아요. 중국 훈춘 지역과 러시아에만 남아 있지요. 특히 일제시대 때부터 사람들이 호랑이는 위험한 존재라고 생각하면서 사냥에 나섰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최근 들어 얼마 안 되는 훈춘 지역의 호랑이들조차 위협을 받고 있어요. 근처에 고속철도와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도자기를 꺼냈다. 토굴에서 나온 도자기에 손을 대자, 아직까지도 뜨거운 열기가 남아 있었다. 1300℃까지 새빨갛게 달아올랐을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지면서, 흙덩이에 불과한 도자기가 쇠붙이도 녹아버릴 고온에서 온전한 형상을 유지한 것이 대단하게 느껴졌다. 그 위에 그려진 무늬와 색, 빛깔은 ... ...
- [과학뉴스] 지구 대기 속 제논의 고향은 혜성?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일부는 석질운석에서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나머지는 어디에서 왔는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분석 결과, 혜성의 제논에는 무거운 동위원소가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이 비율이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지구의 제논 동위원소의 비율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지구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효모 종이 같은 덕분이다.고대 이집트 빵굼터 유적에는 제빵과 양조의 흔적이 함께 남아 있다』 물론 인도의 난이나 그리스의 피타, 이탈리아 피자를 구울 때에도 화덕을 사용한다. 하지만 화덕 생김새가 비슷할 뿐, 굽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 오늘날의 화덕은 불에 반죽이 직접 닿지 않고 열이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