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생각
학설
아이디어
신념
소견
논평
d라이브러리
"
의견
"(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부를 수 있을까?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다고 해도 인공지능으로 인정하기는 섣부르다는
의견
도 많다. 인간처럼 행동하는 것과 실제로 지성을 갖고 있는 것은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진 구스트만이 이룬 성과를 완전히 무시해버릴 필요는 없을 듯하다. 김 교수는 “이 정도만 해도 상당한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유진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말하는 것이 성급하다는
의견
을 내놨다. 튜링 테스트가 처음 나온 지 64년이 지났고, 당시의 컴퓨터 수준은 지금과 큰 차이가 있는 만큼 오래된 기준을 적용한 유진을 진정한 인공지능으로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미국 뉴욕대 인지과학자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쓸데없는 손해를 입는다”고 말했다. 김승현 한양대 의대 신경과학교실 교수도 같은
의견
이다. “중국은 모든 병원에서 줄기세포 치료제를 마구잡이로 시술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렇게 하면 치료의 신뢰도가 떨어져 국가바이오산업 전체를 망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희귀병은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브라 주카는 정교한 패스를 주고받는 선수와 팀에게 유리할 것”이라며 비슷한
의견
을 밝혔다.브라주카의 가장 큰 수혜자는 누구일까. 영국 런던 대 자비에 로페즈 페나 박사와 휴고 토우쳇 박사는 남 아공에서 “스페인의 짧게짧게 주고받은 패스가 우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다. 시각 능력은 시신경에서 전달된 신호를 해석하는 뇌의 능력 차이 때문이라는
의견
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눈의 핵심 부위인 망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연구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한국계 미국인인 승현준(서배스천 승)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미국 정신의학협회 는 상당수의 참전 군인들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 상태에 놓여 있 다는
의견
을 받아들였어요. 1980년 PTSD는 미국정신의학회의 공식적인 정신장애 진단목록(DSM)에 새롭게 포함되었어요. PTSD는 이제 의학적 병명이 되었고,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환자로서 특별한 법적·의료적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활동하는지 실험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마치 바퀴벌레 속에서 로봇들이 생각하고
의견
을 모아서 행동하는 것 같이 보였다. 연구팀은 외부 환경에 따라 9가지 ‘처방전’을 내렸다(오른쪽 그림 참조). 이론적으로는 더 많은 경우의 수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네이처 ... ...
금융시장 주무르는 방정식 전문가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쉼없이 오르내리는 빨간색과 녹색 숫자. 그리고 그 화면을 분주히 확인하며 큰 소리로
의견
을 주고받는 사람들. 보통 증권회사라고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다.그런데 그들 중 일부는 ‘수학자’다. 연구실이나 강의실에서 종이나 칠판에 문제를 풀고 있어야 할 것 같은 수학자가 왜 생뚱맞게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앞에 거대한 막이 있다결론적으로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에 대한 검증은 아직 어렵다는
의견
이 일반적이다. 송용선 박사는 “우주의 초기조건을 설명하는 수많은 이론이 제안됐지만, 사실상 그 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인류는 우주의 초기 조건에 대해 알고 싶어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물이 차기 시작하면서 배가 가라앉아 버티기 힘들다”고 말했다. 김용환 교수도 같은
의견
이다. “사고 초기 배가 옆으로 완전히 누운 모습을 봤을 때부터 이상했습니다. 어떤 원인으로든 배에 구멍이 났다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비스듬히 기울 텐데, 세월호는 서 있던 배가 그대로 옆으로 누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