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도는 공전운동 역시 가속운동이다.그렇다면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는 채 원자핵
주위
를 도는 전자는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방출한 다음 원자핵 속으로 빨려 들어가야 하는 것이 아닐까.그러나 현실 세계에서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돼 있는 원자가 안정적이란 사실은 뉴턴역학과 전자기학으로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00초로 세팅한다.이제 삼각대에 카메라를 붙이고 줌인 상태에서 태양 주변의 밝은 코로나
주위
를 고정 촬영하면 된다. 이 때 태양의 강한 빛이 렌즈에 직접 들어오지 않게 해야 한다. 렌즈플레어 현상(광학현상)을 일으켜 허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행운이 따른다면 불과 5분 안에 UFO를 포착할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가옥을 감싸는 모습이 추울 때 바람을 막고 서로의 체온을 나누려는 사람들과 비슷하다.
주위
들판에 비해 마을 안쪽에서 상대적으로 아늑함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이유다. 마을을 둘러싼 지형조건이 최적의 주거지를 만들지는 못하지만 경사지에 자리잡은 집들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아늑함을 ... ...
남극에도 꽃이 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온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이거든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주위
에도 한 겨울 추위를 견디며 자라는 씩씩한 식물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세요 ... ...
활용 만점 수세미오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찬바람이 불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지긋지긋한 얼굴 당김! 고추장 크림만으로 버티는 건 더 이상 무리야. 뭐 좋은 방법이 없을까? 수세미오이 말리면 ... 물론 생활용품까지! 수세미오이는 정말 활용만점이군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주위
에서 이렇게 활용 만점인 채소를 ... ...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건 어떨까요? 갯벌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는 단체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보내고
주위
사람들과 관심을 나눠 보세요. 어린이 여러분께 부탁합니다. 지금 갖고 있는 자연에 대한 사랑을 놓지 말아 주세요. 저도 짝꿍을 도울 방법을 찾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있겠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 ...
'토성의 달’에 생명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지구
주위
를 도는 달처럼 토성
주위
를 돌고 있는 위성 중 하나인 엔셀라두스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고 추측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지난 201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보낸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는 엔셀라두스에서 얼음을 뿜어내고 있는 샘을 찍어 보냈답니다. 카시니호가 탐사한 결과 이 ... ...
우산 닮아 우산나물, 접시 닮아 접시꽃 재미있는 풀 이름 짓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있도록 우선권을 주거든요.엥? 풀을 연구한다고요? 이런 풀도 쓸 데가 있나요?하하, 보통
주위
의 풀을 쓸모없는 잡초라고 생각하곤 하죠. 심지어 해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요. 논이나 밭 같은 농경지에 나는 잡초는 농작물을 잘 못 자라게 하고, 나쁜 병과 해충을 옮기니까요. 이렇게 해로운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갖고 생활하는 것이 멸종위기 생물을 보호하는 가장 큰 방법이에요. 생물도 인간처럼
주위
환경과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며 살거든요" 백규석 환경부 자연보전국 국장잠깐! 멸종 생물 하나를 살릴 수 있다면?멸종된 생물 중에서 다시 만나고 싶은 생물이 있니?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은 지금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생물이에요. 암컷과 수컷이 서로의 불빛을 보고 만나 짝짓기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주위
불빛이 너무 심하면 서로가 내뿜는 불빛을 보지 못해 번식할 수 없게 돼요. 그래서 곤지암수목원에서는 모든 조명을 끄고 반딧불이가 보지 못하는 10lux 정도 밝기의 빨간 빛을 내뿜는 안내등을 켜서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