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새끼흑점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세하게 보자. 수치모델과 실제 관측에 따르면 새끼흑점
주위
에서 대류운동을 하던 물질이 흑점의 자기장 때문에(열전달이 안 되므로) 온도가 낮아져 태양 표면 아래로 떨어진다. 떨어지던 물질 일부가 새끼흑점 아래에서 밀도가 높은 곳을 만나면 다시 튕겨 위로 ... ...
수학을 사랑한 과학동아리 회장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것 같은 불안함”도 느꼈단다. 불안하고 우울하니 공부도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런데
주위
를 둘러보니 재원 양만 그런 것은 아니었다. 친구들과 털어 놓고 이야기 하면서 함께 울기도 많이 울었다. 서로를 위로하고 힘내라는 편지도 많이 썼다고 한다. “친구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요. 힘내라며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지구가 공전하는 방향으로, 스테레오B는 지구 공전과 반대 방향으로 발사돼 태양
주위
를 돌고 있다. 이 쌍둥이 위성이 제공하는 3차원 관측 덕분에 우리는 태양 제트의 꼬임 구조나 코로나의 높이를 알 수 있게 됐다.스테레오 위성의 또 다른 성과는 태양의 360° 전체 모습을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는 ... ...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알고 있던 크로마뇽인은 빙하기라는 척박하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끊임없이
주위
를 살피고 극복했다. 인류는 바로 이런 환경 적응력 덕분에 70억까지 그 수를 늘릴 수 있었다.하지만 인류가 꼭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인구폭발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계기인 농업은 인류의 삶에 최초로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폭풍 관측위성(RBSP)’의 데이터를 받아 공동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RBSP는 지구
주위
를 둘러싸고 있는 방사선대인 밴앨런대를 관측하기 위한 위성이다. 밴앨런대는 고도 1000~6만km에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플라스마층이다. 주로 태양풍이나 우주선에서 나온 입자가 있다. 태양폭풍이 생기면 이곳에 ... ...
시련은 우리를 강하게 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더 괴로운 모양입니다. 헤어진 이유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건 환경이었습니다. 연애 도중
주위
환경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흔합니다. 그런데 사귀는 중에 생기는 문제가 환경 탓일 때는 오히려 덜 괴롭게 느꼈습니다. 헤어지는 이유가 환경 탓일 때만 더 괴로운 거지요. 그리고 환경 때문에 헤어진 ... ...
영상 신호 스스로 분리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가능할까. 사람 눈이 2개라서… 만일 사람의 눈이 1개였다면 어땠을까. 한쪽 눈을 감고
주위
를 둘러보자. 볼 수 있는 사물의 양도 줄어들고 사물의 원근감과 입체감 등을 인식하는 능력이 확연히 떨어진다. 눈이 2개이기 때문에 볼 수 있는 정보량도 2배로 늘어나고 눈에 비치는 사물을 보다 정확히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이용했다.수중미로는 물이 가득 담긴 수조에 뗏목이 하나 떠 있는 형태다.
주위
가 깜깜해 뗏목이 보이지는 않는다. 헤엄을 치다가 우연히 뗏목을 발견한 쥐는 다시 물에 빠지면 이번엔 처음부터 뗏목을 찾는다. 쥐는 뗏목의 위치를 기억하기 때문에 실험을 반복할수록 뗏목을 찾는 시간은 점점 ... ...
음습한 생물? 편견을 버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징그럽고 음습한 생물이라는 편견 아닌 편견에 휩싸여 있던 생물이다. 그래서 비교적
주위
에 흔한 데 비해 더욱 낯설게 느껴진다. 이 작은 책 두 권을 펼쳐보자. 직접 이 생물을 만나러 가는 방법도 친절하게 안내해 놨다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왼쪽의 작은 하얀 점을 10초 동안 보다가 오른쪽의 검은 점을 보면 순간적으로 검은 원
주위
에 큰 원이 나타났다가 사라질 거예요. 1824년 피트 마크 로제라는 영국의 의사는 우리의 눈이 사물을 볼 때 빛이 망막에 투영되면 이미지가 만들어지는데, 빛이 사라져도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가 동시에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