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이다(왼쪽 그림 참고).그러나 이 주장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간
흔적
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약점이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가 동해의 대륙붕, 대륙사면, 울릉 분지의 지각과 지질 구조를 조사하면서 새로운 분석 결과들이 속속 나왔다.연구 결과 일본이 떨어져 나가면서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깊게 또는 고해상도로 관측한 결과 실제로 매우 밝은 퀘이사의 주변에서 은하합병의
흔적
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어두운 퀘이사의 경우 은하합병 없이도 궤도가 불안정해진 가스가 은하 중심부로 공급이 되어 거대질량블랙홀의 성장을 가져올 수있다는 연구결과도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00주년을 맞아 튜링은 어떤 사람이었으며 어떤 삶을 살았는지 영국 현지에서 튜링의
흔적
을 찾아봤다.단어 만들기를 좋아했던 영리한 아이기자 안녕하세요, 튜링 박사님.튜링 절 만나러 참 멀리서 오셨네요. 반갑습니다.기자 한국의 독자들에게 박사님의 삶과 업적을 소개하고자 박사님이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마감한 이름모를 어느 거대한 별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이다. 70억 지구인은 모두 한 별의
흔적
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우린 모두 한 우주 안에서 태어난 형제라고 우기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누가 따지면 달리 변명할 도리는 없지만, 그래도 신기하지 않은가. 우리 몸의 구성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세계로 팽창해 나가던 시기가 반영된 결과였다. 반면 미토콘드리아DNA에서는 유럽 여자의
흔적
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거칠고 오래 걸리는 항해에 나서는 건 대부분 남자였기 때문이다.남자들이 Y염색체만 세상에 퍼뜨린 건 아니었다. ‘사이언스’ 2011년 9월 9일자에는 Y염색체와 언어의 변화에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아닌 ‘원’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종이를 접는 횟수를 늘릴수록 종이에 표시되는 접은
흔적
은 반원 또는 원에 가까워진다. 수학자들은 한 장에 많은 원이 그려진 펼친 도면일수록, 섬세하고 복잡한 형태의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앞서 작품을 소개한 로버트 제이 랭 박사는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중우주의 ‘충돌
흔적
’ 후보 분석 결과. 맨 위가 온도로, 커다란 원 모양의 온도 요동
흔적
이 보인다. 하지만 연구팀은 플랑크 위성 등 추가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다중우주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결론 이것이 과학인가 vs. 우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폴 데이비스 호주 매쿼리대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게 중요하다. 지난 2월 22일에 내놓은 보도자료를 보면 이런 고민의
흔적
을 엿볼 수 있다. 보도자료는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우주공간에서 고체 상태의 풀러렌을 최초로 발견했다는 내용이다. 탄소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연결된 분자인 풀러렌을 흥미롭게도 나무상자 안에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볼 수 있는 자연과학을 담았다. 샤크 만에서 만날 수 있는 35억 년 전 광합성의
흔적
‘스트로마톨라이트’에서부터 신이 거꾸로 심은 듯한 ‘바오밥나무’, 남반구 밤하늘에서만 볼 수 있는 남십자성에 이르기까지. 덤으로 호주를 여행하는데 필요한 에티켓과 지식까지 갖춘 이 책은 일종의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앤다도대체 어떻게 바다 속을 지나간
흔적
까지 없애줄까. 정확하게 말하면 지나간
흔적
을 적에게 들키지 않는 기술이다. 미국 듀크대 데이빗 스미스 교수팀은 잠수함의 흐름을 제어해 숨기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즉 잠수함이 물 속에서 움직일 때 발생시키는 물결의 움직임을 없애 잠수함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