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해변에서 또 한 번 놀랐단다. 지층이 아예 세로로 세워져 있는 거야! 이렇게 지각변동의
흔적
이 선명한 지층은 흔치 않은데…. 혹시 두 번째 보물?지각변동의
흔적
, 습곡구조이런 습곡구조는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초기까지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난 지각변동으로 생겼다고 해. 땅 속 깊숙한 곳에 ... ...
고대에 나무가 강을 만들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강의
흔적
이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또, 하천 퇴적층에서 화석화된 나무 둥치들의
흔적
을 보고 나무들이 강둑을 따라 자란 것을 알 수 있었지요.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깊은 뿌리를 가진 나무들이 땅을 안정시킨 덕분에 강둑이 만들어지고, 강둑을 따라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 ...
지구에서 외계인
흔적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미국우주항공국(NASA)의 과학자들이 화성 탐사에 앞서서 지구상에서 화성과 환경이 가장 비슷한 곳으로 탐험을 나섰다는 소식이에요. 그 곳 ... 보고 있지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월면자동차를 화성으로 보내 외계생명체의
흔적
을 찾을 예정이라고 하니, 그 결과가 무척 기대되네요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질겼을 거예요. 그런데 턱이 커지긴 커녕 작아졌다니요! 그래서 생각했죠. 불을 사용한
흔적
보다 앞서 호모에렉투스가 불을 이용해 요리를 한 게 아닐까하고요. 왼쪽 페이지의 연표를 보면 뇌가 커진 시기와 불을 사용한 시기도 비슷하답니다."리처드 랭햄 (하버드대학교 교수, 영장류학자) 요리가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전의 실록이 모두 사라졌을 것이다. 부안 구암리를 하늘에서 보면 선사시대 조상들의
흔적
인 고인돌이 독특하게 배치된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변산반도 줄포리에 가면 제2대 부통령인 인촌 김성수가 살던 김상만 가옥이 있다.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 볏짚이엉으로 엮은 전통초가의 숨결을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벚나무, 버드나무는 많은 애벌레들이 선호하는 음식이다. 제공된 식물 중 배설물과 먹은
흔적
이 확인되는 종이 그들의 먹이가 된다.먹는 것을 해결해 준 다음은 병에 걸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애벌레들은 곰팡이에 민감하다. 적어도 하루에 한번 이상 사육 상자를 체크하자. 사육 상자는 보통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단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교과교실이 아니다. 실험실에 가보면 학생들이 직접 쓴
흔적
이 많다. 고가의 망원경도 다 꺼내 놓고 학생들이 직접 만져보고 쓸 수 있게 한다. 예전에 방송사에서 취재를 왔을 때 불시에 학생들에게 실험을 하게 했다. 그런데 학생 스스로 대형피펫, Y자관 등 실험기구를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박사는 아무 생각 없이 전원 스위치에 손을 가져다대었다. 다음 순간 연구소는 폭파해서
흔적
도 없이 사라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과수원의 골칫덩어리인 복숭아순나방 애벌레는 사과 표면 밑으로 길을 내고 돌아다닌
흔적
과 조그마한 구멍을 찾으면 된다.나방은 나비보다 아름답다가을이 깊어갈 즈음 더 이상 애벌레 찾기가 불가능해지면 불러 모으는 방법도 있다. 올이 굵은 볏짚 새끼줄을 나무줄기에 넓게 감는다. 아직 잎에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중력으로 다시 뭉쳐서 생겼다고 추측할 수 있다. 실제로 이토카와의 물질에서는 충돌의
흔적
인 결정구조의 균열이나 변위 등을 관찰할 수 있다.또한 이토카와를 포함해서 크기가 100m 이상인 소행성 중에는 자전주기가 2.2시간보다 작은 소행성이 없다. 암석더미로 이루어진 소행성이 너무 빨리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