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대로 HIF를
억제
하는 저해제는 암에서 혈관 생성을
억제
해 항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장암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이 이런 생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HIF는 너무 많아도, 적어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산소 센서를 조절하는 일은 매우 민감한 ... ...
노벨생리의학상 과학자들, 산소에 적응하는 세포 신비 밝혀 암치료 길 열다(재종합)
2019.10.07
조절 메커니즘은 생리학, 병리학에서 많은 영향, 매우 중요. 이 메커니즘을 활성화 또는
억제
하는 방법으로 빈혈이나 암 등 여러 질병를 치료하기 위한 신약을 개발하려고 노력 중 먼저 우리 몸에 산소가 부족해진 환경이 만들어지면 우리 몸에서 산소를 실어나르는 ‘화물차’ 역할을 하는 세포인 ... ...
노벨의학상 과학자들, 호흡 복잡성 규명하고 빈혈·암 치료 길 열어(종합)
2019.10.07
투과가 안되면서 저산소증(Hypoxia)가 일어나는데 수상자들이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종양
억제
인자도 발견하는 등 성과를 냈다”며 “저산소 환경에서는 항암제 치료도 어려운데 수상자들의 연구성과로 저산소 환경에서 암세포 거동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윌리엄 케일린 하버드의대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단백질’을
억제
해 면역세포의 암 치료 능력을 높이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
억제
제’의 원리를 발견한 제임스 앨리슨 미국 MD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에 상이 돌아가면서 올해는 항암 치료 분야 의 수상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평가다. 지금까지 관행상 2년 ... ...
경도 인지장애 환자 치매 가능성 혈액 검사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환자의 치매 진행 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돼 조기 치료를 통한 치매 예방 및 진행
억제
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기술 보완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높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 ...
[표지로읽는과학] 인간 건강증진 가져올 '유전자형-표현형'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유전자가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다. 서로 발현을 돕기도 하고 반대로
억제
하기도 한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표현형만 봐서는 어떤 유전자들이 상호작용한 결과인지 알 수 없다. 사이언스는 ‘유전자형에서 표현형으로(Genotype to phenotype)’라는 제목의 특집에서 유전자형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투여해 신경교종의 확산을 늦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신경전달물질 과다 분비를
억제
하는 간질 약물로 암세포에 신경전달물질 전달을 막은 것이다. 다만 이러한 치료법은 정상 뇌세포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암세포만 막아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유전성 질환인 다운증후군에 대한 효과도 함께 알아냈다. 천 교수는 “역전사 효소
억제
제를 복용한 미국 65세 이상 노인 수만 명 가운데 단 한 명만이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했다”며 “이미 30년간 쓰이고 있는 HIV 치료제가 퇴행성 뇌질환에 쓰일 수 있게 되면 많은 돈과 시간을 아낄 수 있을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등과 결합하여 신속한 감염을 돕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O형 혈액형은 이러한 결합을
억제
하는 기능이 있다. 혈액형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내성과도 관련된다. 위장관 세포에서 발현되는 ABO 항원이 병원체의 감염과 관련된다. 특히 A형과 B형 혈액은 비브리오 콜레라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 ...
ADHD 단번에 진단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정확도가 85%에 이르렀다. 이 알고리즘은 특히 뇌에서 중요 자극을 선별하거나 반응
억제
를 담당하는 전전두엽의 구조적 결함을 잘 찾아낸다. 이 결함은 ADHD 환자의 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ADHD 환자가 부주의하고 과잉행동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이유다. 연구를 이끈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