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두통인구 100만 시대]⑤ 진통제로부터 해방(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건강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VR 게임이 어떻게 주의력을 분산시키고 감정과 인지 등을
억제
시킬 수 있는지 연구 중이다. 약물 없이도 두통에서 해방될 날이 기대된다. 로스앤젤레스 아동병원 연구팀이 VR 게임을 할 때 통증을 느끼는 신경회로에서 뇌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메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삶을 살게 된다는 연구들(마시멜로 실험)이 있었다. 더 좋은 결과를 위해 현재의 충동을
억제
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능력, ‘자기통제력’ 또는 ‘의지력’이라고 불리는 능력인데 이것이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문을 품은 연구자들이 있다. 예컨데 ... ...
목이 칼칼, 눈은 따끔… ‘역대 최악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들어온 미세먼지가 혈소판 생성을
억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혈소판 생성이
억제
되면 혈전(피떡)이 생길 수 있다”며 “혈전이 혈관을 통해 온몸을 순환하면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안타깝게도 미세먼지가 직접적으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질병이라는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홍역의 발병과 이어지는 면역
억제
에 대한 지식이 백신 접종이 꼭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썼다. 홍역을 앓고 난 뒤 나타나는 면역
억제
(기억상실) 현상이 기억B세포의 감소(빨간색) 때문이라는 가설을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부작용을 없앤 IL-2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동물 실험 결과 암세포
억제
와 부작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는 실바 만자노 교수는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IL-2 단백질을 이용해 신장암과 피부암을 치료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있었다”며 “이번에 설계한 IL-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몸에서 노화 세포를 없애자 신체장기의 활성이 높아지고 퇴행이 늦어지고 암 발생이
억제
돼 수명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제공 ‘네이처’ 몸의 노화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개념이다. 나이 들어 늙는 건 총체적인 현상으로 얼굴과 몸의 섬세한 조율이 무너지고(따라서 외모가 예전만 ... ...
[과학게시판] AI 국제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 한국식품연구원은 종근당바이오와 지방흡수
억제
효과가 탁월한 중성지방 개선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와 관련 기술을 이전하는 4억6000만 원 규모의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서 효능이 입증된 이 유산균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이므로 우선권 이론은 미량영양소에게 애초에 없던 역할(노화
억제
와 건강수명 연장)까지 부여한 뒤 그걸 충족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는 꼴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비타민의 존재를 발견하던 시절 과학 지식의 한계 때문이었을 뿐이라고 에임스 교수는 주장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땅콩 알레르기 잡는 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게 치료법의 기본 골격이다. 다만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과는 반대로 면역반응을
억제
한다. 빵 같은 음식물을 통해 의도치않게 소량의 땅콩 성분을 섭취했을 때 큰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게 목표다. 현재 임상시험을 통해 세계적으로 3000여 명의 환자가 이런 방식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T세포 표면에 있는 Kv1.3이라는 칼륨 통로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해 과잉 면역 반응을
억제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자가면역반응 환자의 T세포는 Kv1.3 통로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리브해에 사는 융단열말미잘은 바닷가재 같은 천적을 내쫓기 위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