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1B5도 인식하는 분자인 아이소노닐알코올(isononylalcohol)로 활성화시키자 암세포의 분열이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모르지만 냄새분자로 백혈병을 치료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한편 췌장의 장크롬친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 OR2J3는 세로토닌 분비에 관련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시간이 좀 당겨지고 더 푹 자는 것 같다(카페인은 깊은 잠을 잘 때 나오는 델타파를
억제
하는 작용도 한다). 커피는 언제 마시느냐에 따라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고 숙면을 도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소 밤 11시쯤 잠드는 사람이 저녁에 커피를 마시면 수면압력이 떨어져 자정을 한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드러났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상쾌한 꽃향기인 리날롤(linalool)을 만드는 유전자(NES)는
억제
했고 묵직한 나무향이 나는 저마크렌D(germacrene D)를 만드는 유전자(GDS)는 활성화했다. 꽃향기의 미적 측면에서는 리날롤이 저마크렌D보다 기여도가 크므로 올드 블러시의 경우 색을 위해 향이 일부 희생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제공 한편 늙은 생쥐에게 메르켈 세포를 자극하는 물질을 투여할 경우 가려움
억제
신호가 강화돼 젊은 생쥐처럼 적당히 가려움을 느끼는 수준으로 돌아갔다. 즉 이런 약물을 나온다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만성적인 가려움 증상을 치료할 수 있을지 모른다. 참고로 알레르기 같은 화학적 자극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결국 과학자들은 다른 메커니즘의 약물을 고민했고 마침내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
제(potassium ion-competitive acid blocker. 이하 P-CAB)’ 개념을 떠올렸다. 양성자 펌프는 사실 양성자 혼자 이동시키는 게 아니라 칼륨이온(K+)과 연동해 작동한다. 앞의 양쪽 문 출입구 비유를 들면 이렇다. 세포막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것도 신경생성을
억제
하기 때문이다.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건 신경생성을 촉진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스페인의 저명한 신경해부학자로 190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이 직접 그린 설치류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결합해 T세포의 기능이 떨어진다. 여기에 면역항암제를 투여하면 위와 같은 결합이
억제
돼 T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해 암세포를 파괴한다. 그러나 이런 면역항암제에도 한계점이 있다. 전체 암 환자 중 20~30%에만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과학자들이 빅데이터, 클라우드 및 고성능 컴퓨팅,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
2018.02.24
해서 잘 되는 성격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식욕이라는 궁극의 욕구를
억제
하고 다이어트에 돌입하는 경우 무조건 식욕을 억누르며 자기통제력을 풀 파워로 가동하는 것과, 다른 여러가지 방법(맛있고 저칼로리인 식단을 고안하거나 고칼로리 음식에 주의가 가는 경우 주의를 돌릴만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알려졌다. 그런데 이런 깔때기그물거미의 독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호주 퀸즈랜드대 연구팀은 뇌졸중을 앓는 쥐들에 깔때기그물거미 독에서 추출한 단백질 ‘Hi1a’를 주입했다. 그리고 2시간 뒤, 80%의 쥐에서 뇌 손상이 완화된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감도를 둔화시키면서까지 피해야 할 독이라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특정유전자 발현을
억제
하는 ‘RNA간섭’ 방법으로 감각에 관여하는 수용체들을 조사했고 그 결과 IR25a, IR62a, IR76b 세 가지 수용체가 칼슘맛을 감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초파리는 주둥이 끝에 난 털을 통해 맛을 느끼는데 그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