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뉴스
"
생각하기
"(으)로 총 9,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을까
2015.03.08
30대 이상 독자라면 ‘형사 가제트’라는 만화를 기억할지 모르겠다. 뭔가 어수룩해서 더 인간적으로 느껴지는 인조인간 가제트 형사가 몸에서 만능 팔다리를 뻗어 위험에서 탈출하고 악당들을 물리친다는 내용이다. 많은 친구들이 가제트 흉내를 내며 놀았지만 기자는 만능 팔다리보다는 가제 ... ...
당신의 감각을 믿을 수 없는 이유?
2015.03.07
지난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최대 이슈는 단연 ‘파검-흰금’ 드레스 논쟁이었습니다. 이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본지 기사(파검 vs 흰금 드레스 논쟁…끝나지 않은 의문)도 덕분에 전체 과학뉴스 중 가장 많은 주간 조회수를 기록하며 관심을 끌었는데요. 우리가 눈으로 받아들이는 인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istockphoto 제공 잘 익은 사과는 나무에서 땅으로 떨어지고, 달은 매일 밤 떠오른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런 일은 계속해서 일어났다. 누군가 '왜 그럴까'라는 질문을 던졌다면 비웃음만 샀을 거다. 너무 '자연스럽고 당연한'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사람의 등장 이후 모든 것이 달라졌다. ● ... ...
수학 잘 하려면 체질을 바꿔라!
수학동아
l
2015.03.05
수학을 잘 하는 방법은? - (주)동아사이언스, 김경찬 제공 유명한 수학자가 계산을 잘 못한다고 하면 황당하지 않을까? 그러나 실제로 유명한 수학자 중에는 계산에 소질이 없었던 사람도 있다. 예를 들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한 독일의 수학자 에른 ... ...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
과학동아
l
2015.03.04
서울에서 고속버스로 네 시간을 달려, 또 택시로 30분을 더 들어가서야 지리산고에 도착했다. 운동장에 들어서자 커다란 DSLR 카메라를 목에 멘 기자를 알아보고는 학생들이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기자님이세요?”라며 먼저 말을 걸었다. 기자를 지리산고의 스타로 만들어준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올해 가장 주목할 만한 과학사건’으로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재가동이 꼽힌다. 스위스 제네바 근교에 위치한 LHC는 역사상 최대의 가속기이자, 인간이 만든 가장 큰 기계다. 2013년 2월부터 2년간 업그레이드를 위해 잠시 잠들었던 LHC가 올해 3월 눈을 뜬다. 힉스 입자를 발견해 표준모형의 마지막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방금 발표에 대해서 마이클 예 교수님이 한 말씀 해주시겠어요?” 질문이 나오자 교실 한쪽 벽 대형 스크린 속에 있던 얼굴이 말을 하기 시작했다. 마이클 예 교수는 이날 화상대화 서비스를 이용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터치스크린을 써가며 유창한 영어로 발표를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와의 만남에 그녀는 수줍어 고개 숙였고… 그의 소심함에 그녀는 떠나가 버렸다 - ‘화양연화’ 왕가위 감독의 2000년 작품 ‘화양연화’는 간통을 소재로 하고 있다. 영화의 배경은 1962년 홍콩. 거실과 주방을 공유하는 공동주택으로 같은 날 이사를 온 차우모완(양조위)과 첸 부인(장만옥)은 동 ... ...
알츠하이머성 치매, 20대부터 시작
2015.03.02
뇌 자기공명영상(MRI). 붉은 점으로 표시된 부분이 전뇌기저부다. - 위키미디어 제공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20대 때부터 서서히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챈지즈 구엘라 노스웨스턴의대 인지신경및알츠하이머병센터 교수팀은 20대 청년을 비롯한 젊은 성인의 뇌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볼 때 활동하는 뇌세포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관련 학계에서는 자폐증 같은 사회성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런 해로시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원은 원숭이에게서 이런 기능을 하는 뇌세포를 발견하고 세계 3대 과학 저널 ‘셀’ 2월 26일 자에 발표했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