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d라이브러리
"
맨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01
태양시와 항성시의 차이라는 이상한 시간이 중요 자료로 취급되어
맨
앞면에 실린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디에 쓰이는 것일까?먼저 천구좌표에 대해 알아보자. 별을 보는 아마추어들이 자주 사용하는 천구좌표에는 지평좌표와 적도 좌표가 있다. 지평좌표는 우리가 서있는 지평면을 기준으로 ... ...
PART.1 컴덱스쇼로 예측하는 '94 신기술 새경향
과학동아
l
199401
컴퓨터와 통신겸용시스템이다. 벌써 일부 성급하고 호기심많은 기자들이나 비지니스
맨
들은 뉴턴을 들고다니며 인터뷰에 적절히 활용하고 있었다.이번 컴덱스쇼에 참가한 40여개의 한국업체들은 주로 샌즈호텔 컨벤션센터에 모여 있었다. 삼성전자와 금성사, 대우통신 등이 대규모부스를 마련했고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더욱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구상성단약 1백만 내지 1천만개의 별이 빽빽이 들어차 있어,
맨
눈으로는 희미한 하나의 별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굉장히 많은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여 있는 성단을 구상성단(globule cluster)이라고 하는데, 성단 중에서도 매우 아름답다.빽빽이 들어차 있다고 해도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11
즉, 분리가 이루어지는 거지요.경험상 식물 색소는 4가지 성분으로 나뉘는데, 종이
맨
위에서부터 카로틴(황적색) 크산틴(황색) 엽록소a(황록색) 엽록소b(청록색) 순입니다. 실험해 본 것과 비교해 보세요.끝으로 엽록소는 왜 녹색으로 보일까요? 그것은 7가지 색을 갖는 빛 중에서 엽록소가 녹색의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11
난관 끝까지 도달되어 수정이 이루어진다.난자는 과립세포나 투명대로 둘러싸여 있다.
맨
처음 난자 표면에 도착한 정자는 첨체에서 효소를 분비하여 난자의 투명대를 녹이면서 침입한다. 이 순간에 난자의 표면 가까이에 있는 입자가 붕괴하여 내용물이 난세포와 난막의 빈틈에 방출된다. 빈틈에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11
청색편이를 경험할 것이다. 이는 운전자에게 오렌지색으로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맨
아래 전구빛은 청색편이가 거의 없어 원래의 붉은색으로 보일 것이다.결과적으로 중성자별에서의 신호대기등이란 장대위에 같은 색깔의 전구를 높이만 약간 다르게 매달은 것이다. '중력에 의한 적색편이 현상 ... ...
플라시보효과, 환자 3명중 2명꼴
과학동아
l
199310
사람들일수록 플라시보 효과가 있었다"고 1천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한 바 있는
맨
해튼의 시나이산의학센터 정신과의사인 아더 사피로 박사는 말했다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것이다.마지막으로 특별히 해야 될 것이라면 실험에 관한 것이다. 과학책을 보면 언제나
맨
처음에 과학탐구의 방법인 '관찰-실험-가설·검증-일반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각각의 과정을 나름대로 훈련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에도 '실험-가설설정·검증'은 실험을 직접 해보아야 되는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10
생물종의 수는 외부로부터 이주하는 종수와 관련이 많은데,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맨
윗단계인 육식동물들의 이주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생태계의 교란으로 멸종속도는 빨라질 수밖에 없다. 소비자의 존재가 생태계의 질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는 외국에서 밝혀진 바가 많다.미국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10
에렌페스트 박사만큼이나 날카로운 비판력과 재치로 이름을 날렸던 박심춘 박사(사진
맨
왼쪽). 항상 문리대 7회 졸업생의 3총사라 자부했던 그는 이제 세상을 떠나 여기 없다. 왼쪽에서 두번째 있는 김종오 박사는 입자물리학을 전공하고 고려대 명예교수로 있으며 네번째의 윤 박사는 캐나다의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