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재즈는 자유롭게 흘러나오는 불규칙한 리듬과 엇박자에서 신선함이 들지만, 나름의 규칙을 갖고 조화롭게 들리기 때문에 매력 있는 장르입니다. 브루벡은 다소 생경할 수 있는 박자와 리듬에 아름다운 멜로디와 뛰어난 연주 실력으로 대중성까지 사로잡은 것이고요! 에필로그 데이브 브루벡을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단 상하좌우에 별이 나타나면 주사위 숫자와 상관없이 별칸으로 갈 수 있다. 이런 규칙 아래서 끝까지 가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야 한다.왼쪽 미로는 아주 쉬운 롤링 큐브 미로로, 주사위를 요리조리 굴리다 보면 금세 답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롤링 큐브 미로는 답을 찾기가 매우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리드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이 2차원 물질인 그래핀에 마치 연탄처럼 10nm 크기의 구멍을 규칙적으로 뚫어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성능을 극대화했다.탄소 원자가 육각형 그물 모양으로 촘촘하게 짜여진 그래핀은 원래 열을 잘 전달하는 물질이다. 하지만 사이사이에 균일한 나노구멍을 뚫어 놓으니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우리 주위에 있는 고체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들이 육면체나 육각기둥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질’과 특정한 모양 없이 제멋대로 나열된 ‘비정질’로 나뉩니다. 결정질 고체 중 자연에서 저절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바로 광물입니다. 이 중 우리 눈을 한 번에 사로잡을 정도로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합성되는 단백질에 ‘불규칙한 단백질그룹(TDPs)’이라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3차원의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설탕의 일종인 ‘트레할로스(trehalose)’가 물곰이 건조 상태를 버틸 수 있게 한다고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무도 얘기하지 않은 반면, 루머는 마치 파도처럼 지속적이고 불규칙적으로 언급됐죠.연구팀은 트위터에 떠도는 정보 각각의 전파 경로도 추적했습니다. 트위터 사용자 A가 게시한 사건을 A의 팔로 워, 즉 A의 게시물을 받아 보는 사용자인 B가 적절한 키워드를 언급하며 뒤따라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사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 교사는 스마트폰을 수업에 이용하기 전에 학생들과 규칙을 정한다. 스마트폰으로 재미있게 수업을 하는 대신, 인터넷이나 SNS, 게임을 하면 앞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식이다.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업을 좋아하기 때문에 나 교사의 작은 협박(?)은 잘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73 혹은 73×23 두 가지 직사각형으로밖에 나타낼 수 없다. 23×73으로 직사각형을 만들면 불규칙한 그림이 나오지만, 73×23으로 만들면 의미 있는 그림이 나온다.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암호로, 과학자들은 지적 생명체라면 이를 풀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그건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주사위를 이용해 마방진을 만들어 보세요. 면제권이라는 말에 민준과 서윤은 게임의 규칙에 귀를 기울였어요. 버핏이 내민 필승 주사위는 주사위 B가 A를, A가 C를, C가 B를 5/9의 확률로 이기는 비이행성 주사위예요. 마방진은 서로 다른 숫자를 이용해 가로줄의 합, 세로줄의 합, 대각선의 합이 모두 ... ...
- 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기는 건 버핏! 대체 왜 버핏만 이기는 걸까요? 놀랍게도 주사위 2개를 동시에 굴리도록 규칙을 바꾸면 이길 확률이 정반대로 나타나요. 즉 A>B, B>C, A<C에서 A<B, B<C, A>C로 바뀌지요. 왜 그런지 자세히 살펴볼게요.주사위 A와 C로 대결을 벌인다고 가정해요. 주사위 2개를 동시에 던졌기 때문에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