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뉴스] 반칙하는 놈 잡아내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조사관은 반칙 행위를 찾으면 보상을 받지요. 이런 상황에서 조사 게임은 피조사자가 규칙을 지킬지 어길지, 조사관이 조사할지 안 할지를 예측합니다. 지금까지 조사 게임은 이처럼 조사관과 피조사자 사이의 일대일 관계만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코로콜트세프 교수는 피조사자의 수를 무수히 ... ...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크게 바꿔놓을 것 같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위상최적화로 설계한 물체는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모양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드릴로 재료를 깎아 물체를 만들어 내는 기존의 ‘절삭 가공’ 기술로는 만드는 게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아주 많이 난다면 의미가 없다.그런데 이제 그런 걱정이 사라졌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근대문화골목에서 매스 투어를 계속해 봅시다. 골목을 둘러보며 여러 가지 숫자와 도형, 규칙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남은 일곱 가지 미션도 수학의 눈으로 해결해 볼까요?대구의 일곱 가지 역사 이야기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해결할 첫 번째 미션은 과거 사과로 유명했던 대구에 걸맞게 ... ...
-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협조적 게임이론’! 활주로 비용 분담이라는 게임에 참여한 항공사는 반드시 약속한 규칙대로 비용을 내야 해서 ‘협조적’이라고 합니다. 비용을 분담할 때는 활주로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을 정하고 나서 부담할 액수를 정합니다. 그 비율을 ‘공헌지수’라고 하는데, 비행기의 이착륙거리와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나기 시작하더니 곧 불연속적으로 불이 붙었다. 화재 당일 끊어진 케이블도 이렇게 불규칙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불에 타 있었다. “뇌 전압으로 케이블에 균열이 먼저 난 뒤, 약한 전류가 내부로 침투했을 겁니다. 케이블의 가장 약한 부분들에서 먼저 불이 났을 거예요.”끊어진 부분의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충분히 더 크다면, 친자식보다 친동생을 돌보는 불임성 일꾼의 이타적 행동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서 진화할 수 있다. 단수이배성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의 한 응용일 뿐이다. 방금 살펴봤듯이, 유전적 근연도가 아니라 행위자와 상대방이 입는 이득과 손실의 비율에 초점을 맞춰 포괄 적합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것은 아니다.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드물든지 흔하든지 간에, 해밀턴의 규칙만 충족된다면 그 유전자의 빈도는 증가한다. 실제로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할데인의 이 글을 인용하면서 이타성 유전자가 드물게 있을 때만 써먹을 수 있는 논증이라며 비판했다. 요컨대, 처음에 품었던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진은 함경도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도처에서 발생했습니다.”발생 빈도는 대단히 불규칙했다. 15~18세기 조선 시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경상도 경주 등 16고을에 지진이 발생해 집이 모두 흔들렸다(중종실록 21년 8월 7일)” 같은 기록이 도처에 나온다.이 교수는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 스포츠와 수학은 많이 닮았대요.수학은 스포츠다!“스포츠와 수학, 모두 정해진 규칙 안에서 자기 수준에 맞게 즐기면 되거든요. 테니스를 생각해 보세요. 세계랭킹 1위인 노바크 조코비치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동호회 회원도 테니스를 즐겁게 치잖아요.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수학자가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t know.” 그걸로 그날의 토론을 마무리했다. 또 한 번의 노벨상을 기대하며고체는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말한다. 2차원이나 3차원에서 존재할 수 있는 고체의 구조는 유한한 개수밖에 없고, 모든 가능한 구조를 분류하는 작업은 이미 20세기 이전에 마무리됐다. 20세기 들어 X선 분광학의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