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내용을 알맞게 담아야 한다. 오목은 규칙이 간단하고 이미 학생들이 아는 게임이라서 규칙을 설명하는 데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이 수업은 그저 학생들이 이해한 정도를 확인하려고 만든 활동이었는데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의 반응이 놀라웠다. 대결하는 중에 ‘좌표축 위의 점은 적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꽃집 주인 ‘ 무란조도 꼬필래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런데 썰렁홈즈…, 여기에도 규칙이 있어요. 바퀴를 골라야 하는데요, 우리 꽃 가게의 규칙에 맞는 바퀴는 어떤 걸까요?” 부모님, 사랑합니다~!우여곡절 끝에 어버이날 부모님께 드릴 꽃마차를 완성한 썰렁홈즈. 게다가 ‘무란조도 꼬필래용’이 돈도 받지 않고 꽃마차를 준다는 게 아닌가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문제를 낼수록 땅을 넓게 그릴 수 있는데, 자신이 풀 수 없는 문제는 출제할 수 없다는 규칙 때문에 내용을 샅샅이 훑고 공부할 수밖에 없다. 땅을 넓히는 재미에 학생들이 스스로 수학에 몰입하는 신비한 게임이다.다음 호에서는 거꾸로 수업 활동사례를 더 알아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발표했다. 거미줄의 재료는 고분자 섬유인데, 결정이 규칙적인 부분(결정질)과 결정 구조가 없는 부분(비결정질)이 섞여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거미줄의 이 같은 구조 때문에 결정질의 포논과 비결정질의 포논이 상호작용하면서 거미줄의 탄성률이 커진다. 즉,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전에 배운 수학 개념을 더 넓고, 깊게 배운다. 초등학교 때 규칙 찾기를 배우고 중학교 때는 함수를, 고등학교 때는 다양한 함수를 배워 내용을 심화한다. 반면, 북한은 한번 배운 내용을 다시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우리나라는 이론을 자세히 다루는 데 반해, 북한은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토끼는 새끼를 낳을 수 없지만, 그 전달에 태어난 토끼들은 새끼를 낳을 수 있어 이런 규칙이 성립하게 되는 거군요!”“맞아요. 더 놀라운 사실을 말해드리죠.”“수열에서 이웃한 두 항의 비율은 숫자가 커질수록 점점 1.618이라는 숫자에 가까워져요. 황금비율이라고 불리는 숫자가 되는 거지요.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시작했다. 예컨대 ‘n차 방정식은 n개의 근을 갖는다’는 명제는 대수학의 아주 기초적인 규칙이다. 하지만 허수와 실수로 이뤄진 복소수가 없다면 이 명제는 온전히 성립하지 않는다. 판별식이 음수인 2차 방정식은 실수 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복소수가 나오기 전에는 ‘n차 방정식은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근연도를 0보다 크게 만드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일 뿐이다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이의 거리는 3mm로 정해져 있지요. 그래서 모든 레고 블록이 서로 잘 맞는답니다. 이 규칙은 초기 레고부터 적용돼 왔기 때문에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맞출 수 있답니다.[가로에 요철이 4개, 세로에 요철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있는 방법은 16개예요. 2×4블록의 모양,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게 아니었다. 애초에 숙명처럼 생기지도 않았다.그러나 은경은 알고 있었다. 자신이 그 규칙을 깨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사실을. 그것은 순종 따위가 아니었다. 차라리 확신에 가까운 일이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 혹은 순차적으로 다가오는 시간의 다음 페이지 같은 것이 아니라,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