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17세 청년인 보이얀 슬랫이 그 주인공이랍니다.보이얀 슬랫은 바닷물이 흐르는
규칙
을 찾으면 쓰레기가 어디로 이동할지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쓰레기가 이동하는 방향 앞쪽에 긴 플라스틱 막대를 놓는 아이디어를 냈답니다. 그럼 해류를 따라 흐르던 쓰레기들이 막대에 막혀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하다 보면 간혹 12장 중에 세트가 전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3장을 더 펼치라는
규칙
이 있습니다. 운이 나쁠 때는 그래도 세트가 없습니다.보드게임과 이산수학의 절묘한 만남!그럼 카드가 최소 몇 장 있어야 세트가 항상 있을까요? 1970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주세페 펠레그리노는 카드가 21장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뻗은 직선만 이용해서 원을 만들 수 있을까요? 불가능할 것 같지만 직선 수십 개를 함수
규칙
에 따라 그리면 원뿐만 아니라 하트, 나비, 꽃까지 원하는 무엇이든 만들 수 있어요. 엔트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직선이 만드는 곡선의 향연, 스트링아트의 세계에 들어와 보세요.예술 작품으로 거듭난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사이의 근연도(r)로 곱해 삭감한 값이 선행에 의한 손실(c)보다 크다면 말이다. 해밀턴의
규칙
은 세 가지 변수가 들어가는 일종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이타성이 진화하는 조건을 깔끔하게 알려준다. 워털루 기차역의 대기실 의자에 앉아 외로움과 우울증에 시달리며 복잡한 수식을 노트에 채우던 ...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일단 뼈처럼 보이는 물체를 발견했을 때 손으로 바로 집지 않고 필자를 불러야 한다는
규칙
을 지킨 걸 칭찬한 뒤, 붓으로 주변 흙을 털어내고 물체를 자세히 살폈다. 아쉽게도 나무조각이었다. 사람들은 허탈해하면서도 즐거워했다. 나무조각이 사람 뼈와 얼마나 비슷해 보이는지 배웠다는 것이다 ... ...
PART 3. 선수들의 드라마에 주목하라!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양궁은 세계 최고다.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에서 끌어내리기 위해 그동안 올림픽 경기
규칙
이 많이 바뀌었지만, 우리 선수들은 흔들리지 않고 항상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켜냈다. 오랫동안 세계 최고의 자리에 있다 보니 선수들의 부담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래서 컨디션 조절과 심리 안정이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불
규칙
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이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불
규칙
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브라운 운동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일로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최초의 좀비 7명이 왼쪽 그림과 같이 왼쪽 상단에 모여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길게 이어질 수도 있다. 어금니를 사용해 뼈를 파손하면 절단면이 너덜너덜하고 불
규칙
한 모양이 된다(사진 ➋). 동시에 뼈의 부서진 부분이 반질반질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갯과 육식동물이 이빨로 뼈를 반복적으로 문지르거나 혀로 핥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개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조정 적합도는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는 두 가지 동등한 방법이다. 둘 다 해밀턴의
규칙
이라는 같은 결과를 낸다.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히 세도록 해준다. 즉,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적합도(혹은 이웃-조정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여기까지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조용히 이동하면서 손가락으로 나무를 ‘톡톡톡’ 친다. 나무 안에서 진동이 전해지며
규칙
적인 소리가 들리는데, 만약 그 안에 애벌레가 숨어 있으면 소리가 조금 다르게 들린다. 아이아이는 레이더처럼 생긴 커다란 귀를 기울여서 그 소리를 구별해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아낸다.일단 이렇게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