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변화는 마치 DNA의 분화처럼 독립적이지 않다(not independent)”고 설명했다. 소리가 일정한
규칙
을 가지고 진화한다는 뜻이다. 간단하게(?) 모든 영어와 라틴어 단어에서 소리변화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한다면 f에서 p로의 변화가 f에서 v로의 변화보다 많은지 적은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네트워크의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를 붙여 쥐의 피부 속에 넣자 태양빛을 받아 LED에 빛이 들어왔다. 연구팀은 또 심장이 불
규칙
하게 뛰는 쥐의 몸에 태양전지와 심박조율기를 결합한 장치를 이식해 4주 동안 시험했다. 특별한 면역 반응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이 교수는 “5~8년에 한 번씩 몸에 넣은 심박조율기의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자신이 흘린 눈물바다에 홀딱 젖은 이상한 나라의 동물들은 다같이 코카스 경주를 한다.
규칙
도 승리자도 없는 경주였다. 경주가 끝나자, 모두가 물었다.“그러면 상은 누가 주는데?”도도새는 앨리스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말했다.“이 아이가 줄거야.”그러자 모든 동물들이 “상 줘! 상 줘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영향을 받는다.소행성★ 지름이 수 미터~수백 킬로미터 사이로 무척 작고 모양이 불
규칙
적이다. 태양계에서는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 많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회전 반경은 더 커진다. 이 때문에 총알은 폭발하듯 뼈를 빠져나오면서 크고 불
규칙
한 형태의 출구를 만들어낸다(아래 그림). 입구에서 시작된 방사형 골절은 많은 경우 총알보다 빨리 출구 근처에 도달해 뼈를 손상시키곤 하는데 이 경우 출구쪽의 파손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뼈에 여러 개의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용하는데 자기만 아는 구문의 단어 앞글자로 만든 단어는 세상에 없는 단어지요.
규칙
도 없어 보이니 무작위로 만든 암호로 볼 수 있습니다.학교 다닐 때, 공부 외에 관심 분야가 있었나요?제가 대학을 다닐 때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유행했어요. 저도 스타크래프트에 푹 빠져있었죠. 특히 저희 과에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무판자를 조립해 만든 다리를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다리’라고 합니다. 나무판자를
규칙
적으로 조립하면 다빈치의 다리가 완성됩니다.여러분은 지오데식 돔을 본 적이 있나요? 제주 올레 8코스를 걷다 보면 지오데식 돔 형태의 서커스 공연장을 볼 수 있습니다. 왜 공연장을 지오데식 돔 형태로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잠깐! 혹시
규칙
이 보이나요? 2+3=5와 같이 앞의 두 수를 더하면 그 다음 수가 됩니다. 이
규칙
으로 만든 수가 바로 피보나치 수입니다. 이 수가 신비로운 이유는 자연에서 종종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제주 올레에서도 이 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제주 올레의 피보나치 수올레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문이다. 상형문자는 문자가 뜻하는 대상을 그림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특별한
규칙
을 외우지 않아도 쉽게 익힐 수 있다.과학자들은 침팬지와 대화하기 위해 특별한 그림문자를 고안했다. 이를 ‘렉시그램(Lexigram)’이라고 부른다. 미국 에모리대 여키스국립영장류연구센터 듀에인 던보 박사는 120여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논리게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걸까. 두 회로를 뚫어져라 쳐다보니 여기도 일종의 ‘
규칙
’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회로에서는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1, 안되면 0의 값을 갖는다. 유전자의 활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이다. 유전자 발현에 의해 활성화된 단백질은 또 다른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