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새로운 문제를 다뤘다. 현대 과학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교토대 과학수업’은 본격적으로 과학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책이다. 벌써 6명의 ... ...
- [수학뉴스] 파도, 이제 두렵지 않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덮칠지 알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영국 물리학 학술지 ‘뉴저널오브피직스’ 3월 11일자에 실렸습니다.독일 올덴버그대 풍력에너지 연구팀은 갑자기 거대 파도가 나타날 확률을 보여주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연구팀은 통계학을 이용해 일본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물리학자가 된 고양이도 있습니다. 1975년 미국 미시간대의 물리학자 잭 헤더링턴은 저온 물리학에 대한 논문을 써서 ‘피직스 리뷰 레터스’라는 유명 학술지에 기고했습니다. 하지만 논문을 읽은 담당자가 논문 곳곳에 문장의 주어로 쓴 ‘We(우리)’를 ‘I(나)’로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갈 때는 빈대떡처럼 유연하게 찌그러집니다.프랑스 렌느1대 물리학과 이자벨 칸타 교수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적혈구가 모세혈관을 지나가면서 유연하게 모양을 비틀어야 할 때 소비하는 에너지에 주목한 것이지요. 칸타 교수는 적혈구가 이 에너지를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 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 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 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말하는 것은 물론이고 영어로 무언가를 쓰는 것도 서툴답니다. 다행히 서강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캄보디아 조교님이 오셔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답니다.한국은 언젠가 한 번은 꼭 가보고 싶은 나라랍니다. 한국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재밌게 봤거든요. 기자님이 저희 사진이 실린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었어요. 그래서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고, 대학에서 철학, 수학, 물리학 등 여러 과목을 접하다가 수학을 전공했지요. 특히 좋았던 과목은 수론의 추상적인 버전인 ‘대수학’이었어요.기억에 남는 선생님이 있나요?대학교 1학년 때 미적분학 수업에서 교수님께서 ‘식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도 해가 뜨고, 진다. 30년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 과연 시간을 만들어내는,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현대물리학의 다음 100년을 기대해 보자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자로서 뇌과학을 연구한 김 이사장에게는(그는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로, 현재 한국물리학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새로운 종류의 ‘지능’이 탄생하고 있는 지금이 무척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또 하나는 그가 최근 열성을 다해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과학교육이다. 교육부가 지난 2월 말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996년 필자는 물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안다면 우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라플라스의 악마처럼 뉴턴 역학은 만물의 이치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밀턴역학은 만물이 철학적으로 움직인다는 인상을 줬다. 필자는 여기에 매료됐다. 그러나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