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랜들 교수가 교류하는 사람들의 스펙트럼이다. 그는 단순히 입자물리학자들이 어떤 연구를 하고, 무슨 입자를 알아냈는지 나열하지 않는다. 영화감독, 배우, 시나리오 작가, 음악가 등과 대화하며 느끼고 깨달았던 것들을 토대로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춘다. 최근 ... ...
- 함수로 빙판길 미끄러짐을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빙판길에서 쭉쭉 나아가는 스케이트는 정말 신나지요. 하지만 빙판길에서 미끄러지면 크게 다칠 수 있어요.빙판이 얼마나 미끄러운지 알면 겨울 놀이도 즐기고, 안 ... 신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화학물리학저널’ 12월 8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골 교수의 증명은 수학에서만 가치가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아골 교수의 증명은 물리학자들에게도 기쁜 소식이었다. 왜냐하면 우주공간의 모양을 파악하는 데도 다양체 분류 문제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우주가 유한하다고는 생각한다. 하지만 우주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 ...
- [News & Issue]다이아몬드 능가하는 신구조 탄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식히는 방법으로 다이아몬드보다 강하고 밝은 탄소 구조를 만들었다고 12월 1일자 ‘응용물리학저널’에 발표했다.상온에서 탄소는 벌집 모양의 2차원 구조인 그래핀이 층층이 쌓인 3차원 구조(흑연)를 이루고 있다. 흑연에 고온고압이 가해지면 탄소 분자들이 얽히면서 다이아몬드가 된다. 연구팀은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표준모형 너머’를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로운 컴퓨팅 방식도 입자물리학계가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모든 것이 입자물리학, 좁게 말하면 표준모형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라는 표현을 즐겨 씁니다. 모든 설명의 뿌리에 있는 근원적인 이론을 찾아 헤매는 물리학자들의 여정을 끝낼 만한 이론이죠. 물론 우리는 아직 그런 이론을 알지 못합니다. 존재한다고 확신할 수도 없죠. 그래서 저는 이것을 ‘꿈(Dream)’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줄어든 것을 표현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는 붉은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물리학은 말로 설명할 때보다 춤과 같은 비언어적인 매개로 설명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좋은 과학자가 좋은 예술가도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사이언스’는 5년 전, 이 대회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교수, 미국 알링턴 텍사스대 크리스토퍼 스코테스 교수팀. 미국 예일대 지구물리학과 로스 미첼 교수팀의 ‘Supercontinent cycles and the calculation of absolute palaeolongitude in deep time’(네이처), 가와카미 신이치, 도조 분지의 ,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지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큐빗은 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로 이동한다. 이 방법은 200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