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되면 연구진들의 얼굴을 유심히 보세요. 2004년 그래핀을 처음으로 분리해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도 이곳에서 일하고 있으니까요. 한국인 과학자도 꽤 있다고 합니다.NGI 연구원들을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곳은, 연구원들이 가장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표준모형 너머’를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로운 컴퓨팅 방식도 입자물리학계가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모든 것이 입자물리학, 좁게 말하면 표준모형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라는 표현을 즐겨 씁니다. 모든 설명의 뿌리에 있는 근원적인 이론을 찾아 헤매는 물리학자들의 여정을 끝낼 만한 이론이죠. 물론 우리는 아직 그런 이론을 알지 못합니다. 존재한다고 확신할 수도 없죠. 그래서 저는 이것을 ‘꿈(Dream)’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이론을 만든 물리학자 셸던 글래쇼와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은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답니다. 이 표준모형에서 가장 중요한 입자가 바로 ‘신의 입자’예요. 신의 입자는 ‘힉스’라는 입자의 별명이에요. 힉스는 다른 모든 입자들의 질량을 결정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는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골 교수의 증명은 수학에서만 가치가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아골 교수의 증명은 물리학자들에게도 기쁜 소식이었다. 왜냐하면 우주공간의 모양을 파악하는 데도 다양체 분류 문제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우주가 유한하다고는 생각한다. 하지만 우주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큐빗은 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로 이동한다. 이 방법은 200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줄어든 것을 표현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는 붉은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물리학은 말로 설명할 때보다 춤과 같은 비언어적인 매개로 설명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좋은 과학자가 좋은 예술가도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사이언스’는 5년 전, 이 대회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더 높다. 매튜스 교수는 “사람들은 이것을 머피의 법칙이라 생각하지만 여기에는 물리학적인 근거가 있다”고 밝혔다.지금 오타가!새해 첫날부터 화면이 깨지는 바람에 기분이 우울하다. 우울한 기분으로 집에 혼자 덩그러니 누워있었는데, 이게 무슨 일? 그동안 마음에 두고 있었던 후배 수지에게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