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과학동아 l2020년 11호
- 10월호에선 영화 ‘테넷’을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한 기사에 꽂혔다. 홍 군은 “책을 본 뒤 며칠 후 화학 수업 시간에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설명이 나왔다”며 “책에서 읽은 내용을 토대로 수업 시간에 질문도 했다”고 말했다. 꾸준한 독서 덕인지, 올해 8월에는 과학논술문 쓰기 대회에서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개종하고 기숙사에 들어갔다.일본은 지역마다 최저임금이 다르다. 도쿄는 최저임금이 일본 전국에서 가장 높다. 그래서 아르바이트를 하나라도 하면 개종을 감행할 정도의 자린고비 생활까진 안 해도 된다. 나는 학교 공부에 지장이 생길까봐 가능한 생활비를 아껴 쓰고, 그래도 안 되면 부모님께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네리다 윌슨 연구원은 “이 생물은 아마 우리가 바다에서 본 생물 중 가장 길 것”이라며, “심해에 매우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는 예상은 했지만, 관찰 결과,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답니다.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스트리밍 서비스와 유사해 보인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들여다보면 훨씬 더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게임은 서버에서 훨씬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무엇보다 게임은 지연 시간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지연 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의 조작과 스트리밍되는 게임 화면이 일치하지 않기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하드웨어를 말한다. 제삼자에게 신뢰점을 두는 보안 정책은 사용자 정보가 본인 의지나 명시적 동의 없이 누출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 클라우드 연구자들은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보안을 강화할 방법을 찾고 있다. 근래에는 암호학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읽으면천재 | 4중나선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DNA의 구조를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두 가닥의 사슬이 쌍으로 구성돼 꼬여있는 일명 ‘이중나선’ 구조다. 그런데 최근 네 가닥의 사슬이 꼬여있는 ‘4중나선’처럼 다른 모습의 DNA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4중나선은 과연 어떤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때문에 복잡한 정보를 갖고 있어요. 정의역, 치역, 그래프 등등 말이죠. 수학자들은 더 본질적인 구조를 찾기 위해 이 집합에서 많은 정보를 빼버리고 아주 간단한 정보만 남기기로 했어요. 예를 들어 r이 5인 미분동형사상군이 있을 때 각 함수의 모양과 성질을 다 빼고 이름만 붙여서 a, b, c,…라고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엔지니어로 활동하다 변호사로 진로를 바꾼 박의준 변호사는 공학과 법률을 섭렵‘멀티 플레이어’다. 변호사로 활동하며 직접 자동화 법률서비스 소프트웨어를 만들고있 ... 진로를 바꾸기 전에 조사를 잘 해보고 평생 일을 해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본격적으로 도전하세요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만화로 배운 ‘오타쿠’ 일본어 친구들 힘입어 레벨 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나를 성의껏 교정해주고 격려해준 일본어 선생님과 테니스부 동아리 친구들 덕분에 일본에서도 언어의 장벽을 신경 쓰지 않고 즐겁게 지낼 수 있었던 것 같다. 말이 어눌해 곤란을 겪으면 위축돼 말을 더 안 하게 되고, 회화도 잘 안 는다. 나는 그럴 때 오히려 격려해주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이 참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리고 인공지능이 각자 그린 태양 폭풍의 경계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따져본 논문도 있습니다. 태양 폭풍 감시는 다른 천문학 시민과학프로젝트와는 달리 우리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우주 현상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캐링턴 사건이 만약 오늘날 발생했다면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