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토대가 휘었으니 그 위에 기둥을 세우면 기둥은 바깥으로 기울고 말아. 그래서 기둥은
안쪽
으로 조금씩 기울여 세웠어.기둥의 높이는 모두 같기 때문에 기둥사이에 걸쳐 놓은 대들보와 지붕도 가운데가 조금 들려 있어. 이렇게 가운데를 위로 들어 올리면 긴 건물의 가운데가 처져 보이는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세요.계산이 끝났나요? 그럼 제 암호를 불러 드리지요. ‘비료’ 방향으로 8번! 그리고
안쪽
에 보이는 수를 확인하세요…. 우리나라와 세계의 1인당 물발자국 평균이 나와 있을 거예요. 그보다 큰가요, 작은가요? 혹시 크면 물을 너무 많이 소비한 거예요. 꼭 그보다 작아서 다음방에서 만날 수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로리체르는 첨탑을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한 책을 냈어. 정사각형 각 변의 가운데를 이어
안쪽
에 새로운 정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이지. 특별한 공식이나 계산없이 반복만으로 첨탑을 설계할 수 있었어.유럽의 대성당과 같이 큰 건물은 수십~수백 년에 걸쳐 짓는 일이 많았어. 앞 세대에서 첨탑을 ... ...
입체도형과 착시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찍었을까? 정답은 시선의 방향을 교묘히 이용한 착시다. 모서리 한 부분을 자르고
안쪽
에 안 보이는 모서리가 보이게 시선의 방향을 맞춰 촬영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도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착시가 있다. 착시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 원래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다. 한 마디로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기공을 이루는 쪽의 세포벽이 두껍고 바깥쪽은 세포벽이 얇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며
안쪽
보다 바깥쪽이 더 많이 부풀어 올라 가운데 기공이 열리는 메커니즘이 일어난다. 이렇게 기공이 열리면 기체가 출입하고 증산작용도 일어난다. 이때 기공을 통해 CO2 흡수와 함께 수증기 증발도 일어나기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세트알데히드(CH3CHO)가 관측됐다. 세종대 천문우주학과 이정은 교수는 “수소분자운의
안쪽
은 바깥에서 자외선이 들어오지 못해 아늑하다”며 “이곳의 먼지 표면에서 유기분자가 많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유기분자를 관측하기 쉬운 환경은 주변에서 별이 탄생하는 곳이다. 별이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곳에는 공사 예정임을 알리는 파란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계획대로라면 파란 깃발
안쪽
의 모래톱은 10m 깊이로 파헤쳐져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현재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이렇게 강 바닥의 모래를 파내는 작업(준설)을 핵심 과제로 삼는다. 하천 바닥을 깊게 해 홍수 위험을 낮추고, 전체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동할 수 있다. 우리 은하에서도 이런 역학적 진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원반
안쪽
보다는 가장자리에서 별들이 더 활발하게 탄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 주변에 갓 태어난,질량이 큰 별이 적은 이유도 막대에 의한 역학적 진화 때문이라 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꼬리 부분으로 구성돼 있어 친수성 부분이 막의 바깥쪽을 향하고 소수성 꼬리 부분이
안쪽
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용성 물질은 극성을 가진 이온이나 분자들이 많은데, 이러한 분자들은 무극성인 소수성 부분을 지나기 어렵다. 반면 지용성 분자들은 대부분 무극성 분자들로서 인지질 이중층의 ... ...
작은 거품을 만들며 터지는 비눗방울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계산하는 수학 모델을 만들었습니다.거품이 터질 때, 거품에 작용하는 힘은 거품막을
안쪽
으로 말려 들어가게 합니다. 그러면 거품은 순간적으로 공기를 감싸면서 도넛 모양이 됩니다. 표면장력이 작용하면서 거품은 점점 더 작은 도넛 모양이 되어 결국 사라지고 맙니다. 이는 가늘게 흐르는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