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김밥이지 왜 하필 누드 김밥이라고 불리는 건가요?잘 생각해 보세요. 일반 전선은
안쪽
에 전류가 흐르고 바깥쪽은 전류가 흐르지 않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은 코팅된 바깥쪽으로만 전류가 흐른답니다. 꼭 전선을 뒤집어 놓은 것처럼 말이지요. 하하하~, 그래서 누드김밥이라고 비유한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녹지나 강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럴 경우 찬바람이 만들어지는 도시 바깥에서 도시
안쪽
으로 녹지를 이용해 바람길을 내 주면 바람을 도시 깊숙한 곳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 찬바람이 생기는 곳이나 바람이 지나다니는 통로에 고층 건물이나 빽빽한 아파트 단지를 짓지 않는 것은 기본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말아 용접해 파이프로 만든 뒤 볼을 넣고 아래쪽은 오므리고 위는 파이프 바깥에서
안쪽
으로 서너 곳에서 눌러줘 볼을 고정한다.박 사장은 “지름이 0.4mm에 불과한 볼을 고정한 채 오랫동안 마모되지 않고 쓸 수 있으려면 재질이 강해야 하는데, 그 결과 가공할 때 정밀도를 유지하기가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특정위치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자동항법장치로 알아서 찾아간다아라온 호 1층
안쪽
끝까지 들어가자 식당과 주방이 있었다. 항해 내내 전직 호텔요리사들이 함께하며 승무원과 연구원의 식단을 책임진다. 주방은 배의 안전을 고려해 가스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핫플레이트 같은 조리기구를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악기의 몸통을 만드는 데 길이 약 66cm의 검은 대나무(竹)인 오죽을 사용한다. 입죽
안쪽
에는 철심(金)이 숨어 있다. 연주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하는 부분은 실(絲)로 만든다.그래서 일부에서는 편의상 해금을 팔음 분류법 중 사(絲)부로 분류한다. 해금은 명주실을 꽈서 만든 유현(연주자의 바깥쪽 줄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소화효소를 소장으로 분비한다. 이때 대부분의 영양소가 소장
안쪽
에 털처럼 나 있는 수많은 미세융모로 흡수돼 혈액으로 들어간다.소화과정을 거친 음식물은 마지막으로 대장으로 이동하는데, 여기가 내가 태어나서 사는 곳이다. 대장은 영양소가 거의 빠져 버린 음식물에서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실리콘(Si)과 게르마늄(Ge) 같은 재료를 얇은 유리관
안쪽
벽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안쪽
부터 만들어 나가는 방식이 대표적이다.197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존 맥체스니 박사가 개발한 이 방식 덕분에 순도가 높은 광섬유 모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었다. 한편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인 백운출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NASA가 밝힌 결과에 따르면 템펠1 혜성은 최소 7겹으로 이뤄진 양파 같은 구조였다. 가장
안쪽
에는 태양계 외곽에서 혜성이 탄생할 때 모인 물질이 쌓여 있으며, 바깥쪽으로 갈수록 태양계 안팎을 공전하며 끌어당긴 물질이 붙어 있었다. 또 혜성에 붙은 얼음 형태의 물질이 태양열에 승화되면서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틈을 통해 나오는 바람이 윗입술의 모서리에 부딪칠 때 미세한 파열음이 생긴다. 파이프
안쪽
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셈이다.입술형 파이프는 다시 몸통이 열려 있는 열린식 파이프와 몸통 끝부분이 막혀 있는 막힌식 파이프로 구별된다. 떨판형 파이프는 리드가 있는 악기인 클라리넷,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피닉스 프로젝트에서는 지구와 가까운 항성계 1000개를 조사하고 있다. 대개 200광년
안쪽
에 있는 천체가 대상이다. 1960년대 드레이크 박사는 겨우 수 광년 떨어진 항성 2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세티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의 범위가 일취월장한 셈이다.세티 연구소는 최근 ‘앨런 망원경 배열(ATA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