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마녀 되는 '두 얼굴'의 여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프로브는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작은 기기로 몸에 대면 장기의
안쪽
까지 볼 수 있다. 프로브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수많은 압전결정이 들어 있다. 프로브를 아랫배에 대면 초음파가 난소, 자궁 등에 부딪혔다 반사돼 다시 프로브로 돌아온다. 선박에서 초음파를 반사시켜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사이의 틈이 조밀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일단 바깥쪽에 산화알루미늄이 생기고 나면
안쪽
의 알루미늄은 산소로부터 보호를 받는다.따라서 산화알루미늄피막 덕분에 산소와 반응이 늦어진 알루미늄은 오히려 철보다 늦게 산화된다.베트남의 길거리를 걷다보면 음료수 캔을 재활용해 만든 모자를 ... ...
원자로 냉각의 한계를 넘어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핵연료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냉각됐다.외벽 냉각기술이란 쉽게 말해서 불이 종이컵
안쪽
에 있고, 물이 바깥쪽에 있을 때 종이에 구멍이 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외벽 냉각기술은 우리나라 고유의 설계 기술로서 원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 시켜 앞으로 세계 여러 곳으로 ... ...
위험한 봄 손님, 알레르기를 조심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기침이 나고, 코가 간질간질하고 재채기가 나와요. 눈은 토끼처럼 빨갛게 변해 버렸고 눈
안쪽
이 간지럽고 눈물도 나요. 또 온몸은 참을 수 없이 가렵고요! 알레르기 때문에 도저히 살 수가 없어요!"알레르기가 발견된 지 100년이 넘은 지금, 알레르기는 아직도 봄이면 봄마다 찾아와 우리를 괴롭힌다.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구 인력의 수천 배에 이르는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우라늄235는
안쪽
에, 우라늄238은 바깥쪽에 모인다. 이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 우라늄235를 95% 이상으로 농축시킬 수 있다.북한은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파키스탄 핵무기의 아버지’로 불리는 압둘 카디르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확연히 달랐고 크기가 비슷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도 달랐다. 연구자들은 “두개골
안쪽
형태는 호모 에렉투스와 비슷하다”며 “뇌 용적은 작지만 전두엽과 측두엽이 잘 발달돼 있어 고도의 인지능력을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이 논문에 대한 반박이 곧 뒤따랐다. 인도네시아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아가미 뚜껑에 가시가 있어 손에 쏘이면 퉁퉁 붓고 통증도 오래 간다. 작은 이빨이 입
안쪽
방향으로 촘촘하게 솟아 있어 한번 문 먹이는 절대 놓치지 않는다. 쏘가리 중 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황금색인 황쏘가리는 한강수계에서만 살고 있으며 현재는 개체 수가 많이 줄어 잘 볼 수 없다.얼마 전 ... ...
몸집만 한 정자 저장한 갑각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안에 정자가 꽉 차 있으면 원래의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다가 정액이 빠져나가 텅 비면 몸
안쪽
으로 접혀 들어가 잘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커다란 정자를 생산하고 저장하려면 엄청나게 많은 생체 에너지가 필요하다”며 “그래도 멸종하지 않고 지금껏 살아남은 것을 보면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희한하게도 비둘기는 어릴 때 ‘젖’을 먹으며 자란다. 알을 낳은 어미 비둘기는 목
안쪽
의 주머니에서 젖을 분비한다. 새끼는 태어난 뒤 약 1주일 동안 어미 목에 부리를 넣고 젖을 빨아 먹는다.호남대 생물학과 이두표 교수는 “비둘기 젖은 보통 우유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기원한다. 서울대 치대 박주철 교수는 “충치가 법랑질에서 시작해 상아질로 파고들면
안쪽
에서 넓게 퍼진다”며 “그 이유는 충치가 상아세관을 타고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치아 아래쪽에는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조직이 있다. 치근(이뿌리) 표면을 얇게 덮고 있는 백악질, 턱뼈에 부착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