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기원한다. 서울대 치대 박주철 교수는 “충치가 법랑질에서 시작해 상아질로 파고들면
안쪽
에서 넓게 퍼진다”며 “그 이유는 충치가 상아세관을 타고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치아 아래쪽에는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조직이 있다. 치근(이뿌리) 표면을 얇게 덮고 있는 백악질, 턱뼈에 부착돼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배딱지
안쪽
에 자리를 잡고 유생으로 발생한다. 암컷의 배딱지는 둥글고 넓적한 데다
안쪽
에 수많은 돌기가 돋아 있어 알을 품기에 적합하다.그믐날 꽃게가 맛있는 이유“봄철 그믐께 잡은 꽃게가 가장 맛있다”라거나 “달이 밝을 때 잡힌 꽃게는 살이 없다”라는 말을 듣곤 한다. 주변에서 실속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오른쪽 밖으로 쏠리는 원심력을 잡아준다.만약 캔트가 너무 높게 설치되면 열차 무게가
안쪽
레일에 편중돼 레일이 쉽게 손상되고 궤간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반대로 캔트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원심력을 받은 열차의 무게가 바깥쪽레일에 편중되므로 레일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이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명을 거치면서 각자의 취향에 따라 여러 번 고쳐지기도 한다. 그림을 진단할 때 물감
안쪽
까지 세밀하게 촬영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그림이 겪은 과거를 순서대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예전에 사용됐던 재료가 오히려 작품을 훼손하고 있다면 그 부분을 떼어내고 다시 복원한다. 그래서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대부분 조개나 고둥 껍질 속에다 알을 400개씩 낳는다. 하얀 밥알처럼 생긴 알을 껍질
안쪽
에 촘촘하게 붙여 놓는데, 알 껍질에는 끈끈한 실 같은 것이 달려 있어 어디에나 잘 달라붙는다.어미 주꾸미에게 고생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어미는 적당한 크기의 재료를 주워 모아 조개나 고둥 껍질의 입구를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돌리는 순간, 경쾌한 소리와 함께 작은 스파크가 일어난다. 가스 화력 조절손잡이
안쪽
에는 흔히 ‘딱딱이’라고 부르는 압전 점화기가 달려 있다. 점화기를 누르면 전기 스파크가 발생하는데, 내부에 있는 압전체를 순간적으로 때려 높은 전압의 전기를 만든다.버저나 스피커를 제작하는 데 ... ...
[생물리학]새와 곤충, 같은 공중회전 메커니즘 쓴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중 몸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갔을 경우(4) 아래로 날갯짓을 할 때는 바깥쪽 날개를
안쪽
날개보다 폭이 넓고 빠르게 움직여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힘을 만들어 원래 방향을 회복한다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소장의 앞부분에서 이뤄지며 소장의 나머지 부분은 영양분 흡수를 담당한다.소장의
안쪽
표면은 마치 빨래판처럼 주름이 잡혀있고 손가락 모양과 같은 융털이 무수히 돋아 있다. 융털은 다시 미세한 융털돌기로 덮여 있어 표면적을 크게 넓힌다. 이런 구조덕분에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영양소를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더 크게 나타난다.렌즈삽입술은 각막 표면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특수렌즈를 각막
안쪽
에 삽입하므로 상처치유반응이 거의 없어서 시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다만 초고도 근시의 경우 수술과 상관없이 평생 근시가 조금씩 진행할 수는 있다. 눈이 아주 나쁜 초고도 근시 환자들이 몇 년에 한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없기 때문에 몸속에서 수송하는 동안 약품이 언제 새어 나올지 예상하기 어렵다.약품을
안쪽
에 담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나노캡슐도 아직 상용화할 단계가 아니다. 정확히 표적에 도달하더라도 원하는 순간에 원하는 양만큼 약품을 분출하도록 조절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 연구단이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