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1,9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 26개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의 마술동아사이언스 l2021.01.19
-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이 카드뮴과 아연 원자 총 26개를 이용해 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든 뒤 이를 촉매로 써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료 물질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를 만든 뒤 이를 촉매로 써서 이산화탄소를 플 ... ...
- 日 수출규제 1년 6개월...“韓 소재 강국 기회 삼아야”2021.01.18
- 지난해 12월 18일 부산대에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이 주최한 '미래소재 육성을 위한 산학연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앞줄 왼쪽부터)이채윤 리노공업 회장, 김학민 서울대 산학협력중점교수,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김광호 미래소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과학동아 l2021.01.16
- 26g인 이 장치는 벌의 비행방식을 모방해 만들었다. 노아 제퍼리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과 연구원은 “로보비는 외부 전원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해 비행한 물체 중에서 가장 가볍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19-1322-0 초소형 비행체는 마이크로보트나 ...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동아사이언스 l2021.01.15
- 나노 물질에 작은 빛 에너지를 쏘여주면 물질 내에서 빛이 증폭하며 더 큰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을 한국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빛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퍼져나가는 형태를 눈사태에 빗대 광사태 현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네이처 ... ...
- [영상+]로봇 물고기떼 '칼군무' 비결은 '옆친구'2021.01.14
- 로봇 물고기로 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라디카 나그펄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 대학원(SEAS) 교수와 멜빈 가우치 위스연구소 연구원은 서로를 보고 따라 떼지어 헤엄치는 로봇 물고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13일 발표했다. 로봇 물고기는 해양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비공진 방식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1.13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학융합캠퍼스에 위치한 인공지능 혁신 파크. UNIST 제공 ■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통발’ 구조를 응용해 불투명한 물질로 빛을 가두는 레이저를 개발했다. 공진기 안에서 불투명한 산란체가 빛을 산란시키는 동시에 증폭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기존 레이저에 ... ...
- "AI반도체, 제2의 D램으로"…기술개발 추진·혁신기업 육성연합뉴스 l2021.01.12
- "AI반도체, 제2의 D램으로"…기술개발 추진·혁신기업 육성 과기부, 1천253억원 투입…"2030년 세계 AI반도체 시장 20% 점유 목표"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정부가 초기 단계인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반 ... ...
- AI 반도체 개발과 기반 마련에 올해 1253억원 투자동아사이언스 l2021.01.1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과 기반 마련에 올해 1253억 원 투자를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 발표된 정부의 ‘인공지능 반도체 발전전략’ 후속조치로 핵심기술 개발(R&D), 혁신기업 육성, 산업기반 조성 등 13개 지원사업에 올해 125 ... ...
- APEC 과학기술혁신정책파트너십 부의장에 박환일 STEPI 단장동아사이언스 l2021.01.06
- 박환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다자협력연구단장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기술혁신정책파트너십(PPSTI) 부의장에 선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박환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다자협력연구단장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기술혁신정책파트너십(PPSTI) 부의장에 선 ... ...
-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2021.01.05
- 이지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입자 하나에 3가지 위조 방지 장치를 동시에 숨겨놓는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 입자 제조 기술을 응용해 머리카락 굵기 입자에 명화를 구현한 모습이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머리카락 굵기만한 입자에 색과 입체 홀로그램, 형광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