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구
검색
수색
서치
연구
찾기
뉴스
"
탐색
"(으)로 총 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세돌 vs 알파고]인간, 기계에 ’두뇌 싸움’ 패배(종합)
2016.03.09
새로운 학습 알고리듬이 있었다. 매 수를 둘 때마다 ‘심층 신경망’과 ‘나무
탐색
’ 알고리듬을 이용해 전체적인 패턴을 읽고 이길 확률이 높은 수를 선택했다. 이를 위해 알파고는 프로 기사의 경기에 나온 약 3000만 수를 학습했다고 알려져 있다. 바둑기사 이세돌(오른쪽) 9단과 데미스 ... ...
“직관력은 인간이 한 수 위” vs “컴퓨터는 긴장하지 않아”
2016.03.09
착수를 결정하는 바둑 프로그램의 한계이기도 하다. 즉 알파고가 과거 프로그램보다
탐색
하는 ‘경우의 수’를 크게 줄였지만 돌이 별로 없는 초반 포석 단계에서 검토해야 할 ‘경우의 수’는 여전히 많다는 것. 지난해 10월 판후이 2단과의 대결에서도 알파고는 포석에선 불리한 경우가 많았지만 ... ...
이세돌과 대국하는 ‘알파고’, 출생의 비밀
2016.03.08
존재하는 원자의 수보다 더 방대한 바둑의 수를
탐색
하기엔 적합하지 않아 보였으나
탐색
할 가지 수를 압축하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과 결합하면서 바둑게임에서 폭발적인 위력을 보이게 된다. 주어진 상황에 맞는 수를 DB검색을 통해 찾는 것이 아니라 1초에 4만번에 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 ...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②]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03.06
가 제 32수를 둘 차례(➊)와 둔 직후(➋)다. 가치 신경과 정책 신경으로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 과학동아 제공 ● 알파고는 판 후이의 실수를 놓치지 않는다 알파고가 흑32를 두고 나자,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알파고가 예측한 상황이다. 자신이 흑32를 공략하면 판 후이가 오른쪽 아래의 백1에 둘 ... ...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①]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03.05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렇게 미리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승률이 높은 경우를 주로
탐색
하는 것을 ‘몬테카를로 트리 방식’이라고 부른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중요한 경우의 수를 구분하는 능력이다. 알파고는 ‘KGS GO’라는 온라인 바둑 서버에서 고수들이 둔 기보 15만 개를 수집해 ... ...
(영상)개를 키우며 몰랐던 5가지 비밀
2016.02.25
가구며 물건이 남아나질 않아요! 온갖 물건들을 물어 뜯습니다. 개의 씹는 행동은
탐색
이나 놀이와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밝은 색일수록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주로 흰색 물건이 산산조각 난다고 하는데요, 나이가 들면 활동성이 떨어지고 호기심이 적어져서 씹는 행동도 줄어듭니다. ... ...
인공지능에 바둑을 심다
2016.01.31
중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지와 연계된 논문 ‘심층신경망과 나무
탐색
을 통한 바둑 게임 마스터(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에는 최초로 프로 바둑기사를 꺾은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AlphaGo)’의 알고리즘이 담겨 있다. 알파고는 구글 ‘딥 ... ...
프로 바둑기사 이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 승리 비결은?
2016.01.28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만을 추출해 계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무
탐색
알고리즘 역시 일정한 패턴에 따라 데이터를 묶기 때문에 빠른 계산이 가능하다. 그 결과 알파고는 다른 바둑 프로그램과 벌인 대결에서 승률 99.8%를 기록했다. 판 후이와 벌인 대결에서도 5번 모두 ... ...
인공지능 컴퓨터, 사상 처음으로 프로 바둑기사 이겼다! 3월 이세돌과 격돌
동아닷컴
l
2016.01.28
체스, 체커, 주사위 놀이 등 여러 게임에서 인간을 이긴 적은 있다. 그러나 바둑은
탐색
공간이 워낙 광범위한 데다 한 수 한 수의 위치나 움직임을 평가하기 어려워 그동안 인공지능 컴퓨터의 가장 힘든 도전으로 여겨져 왔다. 연구를 진행한 구글 딥마인드의 데니스 하사비스는 "바둑이 아마도 ... ...
수중과학수사, 어떻게 진행될까
과학동아
l
2016.01.20
감독관의 역할이 철저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주다이버와 보조다이버는 격자
탐색
, 원형
탐색
등 9가지 기법을 사용해 물속을 샅샅이 수색합니다. 증거물을 발견하면 주다이버가 그 자리에서 마커부이(부표)를 띄워 물 밖으로 알립니다. 그리고는 증거물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핀셋 등을 이용해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