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회복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해 심장 이식의 새 장을 열었다. 이 방법을 이용한다면,
뇌
사자가 아니더라도 생전에 사체 기증을 희망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심장 기증자가 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이들에게 새로운 심장을 찾아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어쨌든 누군가가 죽어야만 내가 살 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두프는 새가 노래를 배울 때 일어나는 뉴런의 발화패턴을 연구했고 그 결과를 사람의
뇌
에 적용하는 시도를 했다. 예를 들어 새의 지저귐에 관여하는 영역이 사람에서는 기술습득과 습관화에 관여하는 피질-기저핵시스템이라는 식이다. 한편 정신과 임상의로서 특히 여성의 정서에 미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뭐라도 열심히 해봐라. 고생하고 힘이 드는 것은 두려워할 일이 아니야. 사람은 어차피 병들어 죽는 거다.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지쳐서 죽는 건 ... 일하며 에델만은 대중을 위한
뇌
과학 교양과학도서도 여러 권 썼다. 이 가운데 ‘
뇌
는 하늘보다 넓다’ 등 세 권이 우리글로 번역돼 있다. ... ...
[만화] 우황청심원은 시험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나?
KISTI
l
2014.12.22
거지. 특히 초콜릿에 함유된 테오브로민이라는 성분은 정신을 안정시켜주고
뇌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준단다. 또 따듯한 꿀물을 보온병에 담아뒀다가 조금씩 마시는 것도 좋아요. 실제로 명문대생들의 수능 체험기를 보면 초콜릿을 책상 위에 까두었다가 집중력이 떨어질 때마다 조금씩 먹었다는 ... ...
손과 발이 찬 이유, 무엇 때문일까?
KISTI
l
2014.12.15
뇌
의 감각 오류는 척수에 문제가 발생해도 나타난다. 감각수용체는 척수를 통해 대
뇌
로 전달되는데 척수에 염증이나 종양이 있으면 감각 인지에 이상이 생긴다. 증상은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팔이나 다리가 시리고 저리는 것으로 시작해 나중에는 잘 걷지 못하거나 배뇨 장애 등도 나타난다. ■ ... ...
뇌
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뒤표지에 있는 하버드대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 교수의 추천사를 보면 많은 심리학자나
뇌
과학자들이 거울뉴런 만능론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핑커 교수는 “그레그 힉콕은 거울뉴런이 사실은 언어와 감정이입, 사회성, 세계평화를 설명할 수 없다는 걸 보여줌으로써 원숭이 비즈니스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하면 식욕이 솟구쳐 밥에 된장찌개뿐인 저녁도 꿀맛이라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뇌
에서 이 회로가 위치하는 영역인 시상하부는 체온이나 수면-각성주기를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생존에 근본적으로 필요한 원초적인 영역이 운동에도 관여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급격한 자동화로 근육 대신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처리하는 방식에 궁금증을 가지고 1960년대부터 실험을 계속해왔다. 어느 날 쥐의
뇌
속 해마 세포들의 반응을 기록하던 중에 장소세포의 실마리를 발견했다. 특정 위치를 찾으려는 시도와 함께 활성화되는 세포가 있고 해당 장소로 이동할 때 활발해지는 세포가 있던 것이다. '몸 안의 GPS'라고도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때에 비해
뇌
의 보상회로인 선조체(왼쪽
뇌
이미지 원 안)와 내측전전두엽피질(오른쪽
뇌
이미지)이 더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뉴런 제공 끝으로 연구자들은 행복했던 과거를 음미할 때 보상회로가 관여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행동실험을 했다. 즉 피험자들에게 돈을 덜 받고 행복했던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겪어도 항암유전자인 p53의 작용이 억제되면서 발암유전자인 Myc의 발현이 증가한다.
뇌
의 송과선(솔방울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ionin) 역시 일주리듬 교란과 유방암 발병 위험성을 매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야간조명(특히 파란색)은 멜라토닌의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