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관계를 탐구해왔다. 마음과 의식을 탐구하는 문제는 나아가 인간과 기계의 다름을 구별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현대에는 신경과학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덕에 이 문제가 또다시 중대한 국면을 맞았다. 누구의 주장이 맞을까. 이 책의 저자이자 신경과학자인 엘리에저 J. 스턴버그는 ... ...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름을 변경했다. 필터를 사용해서 젊은 모습으로, 그것도 발달한 기술로 진짜 사람과 구별이 불가능한 모습으로 나타나자 솔직히 처음에는 소름 끼쳐서 차단할까 고민했었다.다음해에 영국에 사는 엘리가 죽으며 역시 사이버공간에 아바타를 업로드했다. 두 번째라 담담할 줄 알았는데 “내 장례식 ...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사람뿐만 아니라, 진실한 사람도 누명 등의 이유로 불안해합니다. 둘의 차이를 명확히 구별하는 노하우가 필요하지요. 그래서 심리를 공부하며 불안을 다루는 기술도 열심히 공부합니다. Q거짓말 탐지기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나요?일반 질문 검사는 연구에 따르면 80~95% 정확도를 보입니다. 숨김 ... ...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B그룹 꿀벌들의 학습 속도가 A그룹보다 더 빠르고 정답률도 높았어요. Q. 홀수와 짝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지금까지 이 능력은 사람 외 어떤 동물에게도 발견된 적 없어요. 그만큼 추상적이면서도 높은 수준의 수적 개념이죠.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은 홀수보다 짝수 개념에 ...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빙~빙~ 돌아가는 ‘뫼비우스의 띠’처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바로 ‘뫼비우스의 띠’의 그 뫼비우스?!네, 바로 저예요! 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없는 모양이지요. 띠의 어느 한 지점에서 시작해, 띠가 이어지는 방향을 계속 따라가면 다시 처음 시작한 곳으로 돌아오게 돼요. 흐흐, 파리야. 넌 이 띠를 절대 빠져나갈 수 없을 거다! 신기하긴 한데… ... ...
-
- [특집] 인포그래픽. 코인의 종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플랫폼 이름이고, ‘이더’가 암호화폐 이름이지만, 실생활에선 둘을 크게 구별하지 않는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암호화폐다. 1코인이 1달러로 유지되는 테더가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다. 최근 문제가 불거진 테라도 스테이블 코인에 해당한다. 한편 지불형 코인은 실제 ...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대수기하학의 주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무라 다양체’를 다른 다양체와 구별하는 방법을 찾아내 문제를 풀었지요. 이정인 고등과학원 수학부 연구원은 “시무라 다양체는 다루기가 까다로워 많은 수학자가 어려워하는 개념이지만, 수학계 거대 프로젝트인 랭글랜즈 프로그램에서도 ... ...
-
- [특집] 납작한 종이로 기둥과 상자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 네모반듯한 사각기둥, 동그란 구, 뾰족한 삼각뿔이와 같은 입체도형이 평면도형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일까요? 바로 ‘두께’가 있다는 거예요. 두께가 있다는 것은, 길이와 넓이뿐 아니라 ‘부피’도 있다는 말과 같아요. 납작한 색종이 한 장만으로 어떻게 부피가 있는 입체도형을 ... ...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AI)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AI는 강아지와 고양이 사진 데이터에서 둘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찾아 변수로 만든 뒤 학습합니다. 이때 인간의 경험에 해당하는 것이 데이터인데요. AI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좋은 경험이 많을수록 정확한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은 ...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낚시꾼은 물고기가 바늘에 스치기만 해도 종을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 마치 본 것처럼. 하지만 낚시꾼이 느낄 수 있는 건 낚싯대에 전해지는 은근한 진동이나 찌의 움직임뿐이다. 이 정보만으로 보이지 않는 물속 낚시감을 알아챈다. 암흑물질도 마찬가지다. 과학자들은 빛으로 감지할 수 없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