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격리된 공간에서 사계절 내내 안정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이다. LED는 640nm(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 파장대의 적색 LED와 460nm 파장대의 청색 LED를 주로 사용한다. 식물의 광합성에 가장 필요한 빛의 파장대여서다. 그래서 아파트 단지에서 종종 비치는 보라색 조명은 식물 재배를 위해 적색 LED와 ...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폴리에틸렌 필름 제작 기술은 각국의 기밀로 부쳐진다. 폴리에틸렌을 2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보다 얇은 두께로, 찢어지지 않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과거 국내 고고도 과학기구 연구를 주도한 적 있는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고어라고 부르는 필름 조각을 열로 ... ...
-
- [항공] 덕지덕지 달 먼지가 붙었을 땐? 액체 질소 스프레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달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 달 먼지는 평균 98.4% 제거됐으며,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입자는 95.9% 제거됐다. 액체 질소 스프레이는 지구 대기보다 우주 환경과 유사한 진공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했다. 액체 질소 스프레이를 이용해서 먼지를 털면 우주복 손상도 ... ...
-
-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강유전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비휘발성 메모리의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과거엔 강유전체 소재를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규모로 작게 만들었을 때 강유전성 및 부도체 특성이 나빠지는 한계가 있었지만, 2011년에 이미 상용화된 반도체 재료인 산화하프늄(HfO2)에서 강유전성이 발견돼 한계를 극복할 수 ... ...
-
- [출동!슈퍼M] 신호등 초록불 신호는 어떻게 정해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신호등의 시간은 보행자*의 걸음 빠르기를 고려해서 정해요. 대부분의 사람이 1초에 1m(미터)* 정도를 걸을 수 있다고 생각해 계산하지요. 만약 16m 길이의 횡단보도를 건넌다면 16초가 걸린다고 생각하는 셈이에요. 단, 16m 횡단보도의 초록색 신호등 시간을 16초로 딱 맞게 정하지는 않아요. 신호등 ...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흑연(sp2) 구조와 비정질(sp3) 구조가 혼재된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탄소 입자로 만들어지는데요. 합성법은 크게 바텀업(bottom-up) 과정과 탑다운(top-down)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텀업 과정은 탄수화물 등의 유기분자를 ‘태워서’, 탑다운 과정은 흑연, 석탄 등의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뾰족한 탐침을 이용해 나노물질을 관찰한다. 이를 위해선 탐침이 나노물질과 1nm(나노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거리를 유지하며 지나가게 해야 한다. 탐침이 나노물질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탐침에 전압을 가하면 탐침이 나노물질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STM은 이 상호작용을 이용해 ...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022년 12월 2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215000120 할테리아는 길이가 15~35㎛(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m)인 구형의 원생생물이다. 입 주변 섬모를 활용해 먹이를 섭취하고, 몸체 중심부를 두른 섬모로 점프하듯 이동한다. 일부 원생생물이 바이러스를 먹이로 삼을 가능성은 1980년대부터 ...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한계를 이내 드러냈다. 한국재료연구원의 이정구 연구원팀은 금속을 이루는 결정을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크기로 작게 만드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자석 내에 자기력을 약화시키는 입자가 형성되지 않도록 자석의 미세구조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더 나아가게 됐습니다. 너비, 길이, 두께, 직경과 같은 치수 중 적어도 하나가 1~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물질을 나노물질이라고 하죠. 이제 조직공학자들은 전기방사(Electrospinning) 기술을 이용해 직경이 수십~수백 nm에 불과한 나노섬유를 제조합니다. 이것으로 세포 지지체를 만들어 세포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