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메가"(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과학동아 l2000년 08호
- M16 아래에 보이는 M17은 성운의 밝은 부분이 그리스문자 오메가(Ω)와 닮았다고 해서 ‘오메가성운’으로도 불린다. 쌍안경으로 보면 은하수 속을 헤엄치는 오리가 연상되기도 한다. 이 발광성운은 아래에 비스듬히 보이는 거대한 암흑성운의 일부로 알려져 있다. 5백50광년 크기의 이 암흑성운에는 ...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작은 천체 내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4번 이상 별이 형성됐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결국 오메가 센타우리는 몇번의 병합을 거친 왜소은하가 우리은하에 포획된 잔해인 것이다. 실제로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포함돼 있는 국부은하군에 속한 왜소은하에 있는 별들의 진화를 연구한 결과에서도 ...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과학동아 l2000년 04호
- 베타별이다. 알파별은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위에는 오메가 성단이 높이 남중하고 있는데, 쌍안경으로도 타원형으로 수십만 개의 별들이 뭉쳐져 있는 모습을 실감나게 볼 수 있다.밤이 깊어지면서 작업중인 망원경 곁으로 자주 캥거루가 지나다녔다.이때 풀 밟는 소리가 ...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과학동아 l2000년 04호
- 60명밖에 안되지만 10년 후 6백명은 더 필요하다는 게 이교수의 생각이다.이영욱 교수는 오메가 성단이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작은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그는 그 결과에 자만하지 않는다. 앞으로 해야할 일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이교수는 연구자의 ...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궁수자리 왜소은하는 우리은하와 충돌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오메가 성단은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이번 발견으로 은하 충돌 현상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결정적인 요소임이 밝혀진 셈이다. 즉 은하와 은하가 충돌하면 한쪽 은하의 ...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과학동아 l1999년 10호
- 7일간 이 별자리를 통과한다. 현재 춘분점은 오각형 모양의 서쪽 물고기 꼬리에 해당하는 오메가(ω)별 아래에 있다. 춘분점은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천구좌표의 기준점으로 적경 0시, 적위 0도가 되는 점이다. 태양은 매년 3월 21일 춘분날 이 점을 통과한다.춘분날은 밤낮의 길이가 같고 이후 태양은 ...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과학동아 l1999년 09호
- Ι)=10, 카파(Κ)=20, 람다(Λ)=30, 뮤(M)=40, 뉴(N)=50 … 로(Ρ)=100, 시그마(Σ)=200, 타우(Τ)=300 … 오메가(Ω)=800 등으로 매겨진다. 이에 따라 아멘(AMHN, 라틴어)은 1, 40, 8, 50으로 99가 되는 식이다.이 방식을 따르면 베드로를 처형했던 로마 황제 네로의 이름이 666이 된다. 또한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곤충이 함부로 얼씬거리지 못한다. 들깻잎은 노화방지와 두뇌발달 촉진에 효과가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을 일반 들깻잎보다 10% 이상 더 함유했다.기술은 세계 수준1999년 2월 한국 생명공학의 수준을 한단계 높인 두가지 사건이 벌어졌다. 세계 과학계에서 첨단 테마로 인식되는 복제동물과 유전자조작 ...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우주왕복선 내에서 활동할 때는 어떤 시계든 상관없으나, 우주유영을 할 때만은 반드시 오메가시계를 착용해야 한다.존 글렌이 머큐리를 타고 미국인 최초로 지구궤도를 돌 때 그는 지구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이때 사용한 카메라는 일본 미놀타의 몸체를 개조하고 독일 칼 차이스의 렌즈를 ...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과학동아 l1998년 08호
- 1665년 역사상 최초로 발견된 구상성단이다. 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구상성단 가운데 오메가성단(NGC5139)을 제외하면 가장 밝고 커다란 구상성단으로 M13을 능가한다. M4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어 소형 쌍안경으로도 둥근 솜덩이처럼 보이고, 8인치 망원경이면 성단의 중심까지 별들이 분해돼 ... ...
이전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