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mega
마지막
최후
오매가
d라이브러리
"
오메가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농촌진흥청 축산시험장 가금과에서 현재 개발중인 것은 이밖에도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오메가
계란과 닭고기, 계사시설 분뇨처리 방법 개발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최근의 프로젝트 중 가장 중용한 것으로 꼽는 것은 닭의 체외배양 실험이다. 이는 사람으로 치면 시험관아기와 같은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리온 성운에서부터 히아데스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살핀 후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가슴 속 깊이 아로새겨보자.12월은 1년중 밤이 ... 남중조차 하지 않아 고도가 더욱 낮을 것이다. 즉 여러가지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이날
오메가
성단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1603년 베이어가 유명한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성도를 제작했을 때에도 단지
오메가
라는 별로 표기했었다.1610년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사용하면서부터 성단에 대한 많은 의문들이 해결되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까지 많은 관측자들을 괴롭혔던 하늘의 흐릿한 물체들이 별로 분해되어 보이는 것을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3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M17(
오메가
성운)
오메가
성운 또는 백조성운으로 불린다. 가장 밝은 부분은 체크무늬형태다. 상상력을 동원해 보면 백조 모양도 그려낼 수 있다. 너비 0.4도 내에 흩어져 있는 35개 정도의 별을 포함한 성단이 이 성운과 관련되어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팽창을 계속할 것인가, 또는 궁극에 가서 수축 소멸을 해버릴까하는 문제를 학계에서는 '
오메가
문제'라 부르고 있다.코비가 풀어낸 숙제물질섭동의 기원문제는 대폭발 이론 70년 이래 난제중 하나로 최근에 극적으로 풀려졌다. 대폭발이론의 가장 큰 관심사는 현재 밤하늘에 관측되는 은하나 별들의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 성운은 지구에서 수천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그 지름은 수십 광년 정도이다. 3.
오메가
성운(Omega Nebula, Ml7, NGC 6618, RA 18h 21m, Dec -16˚11')백조성운이라고도 불리며 그 옆에 성단을 가지고 있다. 작은 망원경에 나타나는 이 빛의 얼룩은 어렴풋이 헤엄치는 백조의 모습처럼 보인다. U자형의 모양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여덟곳의 송신소에서 10~14kHz의 초장파 전파를 발신, 전세계를 커버하는
오메가
시스템과 지구 궤도에 24개의 정지위성을 띄워 어느곳에서나 네개 위성의 전파를 수신 가능케 함으로써 비행중의 항공기 위치를 정확히 측정 감시 통제하는 시스템이 있다.또하나의 대표적인 개발추세는 항공기 내부의 ... ...
국산 CAM소프트웨어 첫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80년 대초부터 파낙 등 일본제품들이 들어와 시장을 석권하고 있었다.이번에 발표된
오메가
시스템은 그래픽 기능이 훌륭하고 일부 CAD(컴퓨터이용설계)개념까지 갖춰 일괄처리방식의 일본제품들보다 한단계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지난 8월 대만에서 열린 CAD CAM 전시회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따라 북동방향으로 약 8° 움직이면 M17에 이르게 된다. 관측자들은 이것을 '백조' '
오메가
' 또는 '말발굽 성운'으로 다양하게 불러왔다. 메시에는 이것을 '막대 모양안에 별이 없는 빛의 무리'로 묘사했다. 어두운 밤 이것은 쌍안경과 망원경을 가진 거의 모든 관측자에게 장관의 구경거리를 제공해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중앙을 가로지르는 암흑대의 거대함이 두드러져 매우 인상적이다. 또 바로 아래는
오메가
성단으로 알려진 우리 은하 최대의 구상성단이 있다. 이는 가장 멋있는 관측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서울 근교에서는 불가능하다. M81과 M82의 한쌍에 비교할 만한 은하가 사자자리 세타성 아래에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